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마을민속의 범주와 마을공동체 민속
Ⅱ. 마을민속의 고유성과 조사연구자의 관심
Ⅲ. 마을민속의 상대적 인식과 연구의 두 방향
Ⅳ. 민속학의 비판적 성찰과 민중문화학의 모색
Ⅴ. 마을민속의 공동체적 성격과 문화 중심의 사회
Ⅵ. 무상 공유의 마을민속과 문화민주화
Ⅶ. 문화주권 우위의 마을민속과 민주적 정치문화
Ⅷ. 문화주권 실현의 마을민속과 문화창조력
Ⅸ. 문화상풍화의 문제와 문화주권의 재인식
Ⅹ. 문화시대의 민주화와 미래문화학으로서 민속학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마을 민속 조사,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민속연구
2002 .02
마을조사와 마을민속의 비교고찰
민속연구
2006 .02
마을 민속 조사ㆍ연구의 실제와 문제
민속연구
2002 .02
마을민속 왜 어떻게 전승할 것인가
민속연구
2004 .02
김삼기, 『조선시대 제지수공업 연구』(민속원, 200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08 .01
음악과 문학이 어우러진 가곡의 역사 -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민속원 2005)을 읽고
한국문학과 예술
2009 .03
범패의 속살까지 파헤친 현장 연구 : 윤소희, 『범패의 역사와 지역별 특징』(민속원, 2016)
한국민족문화
2018 .02
궁중 융합무대예술 ‘동동(動動)’의 본질에 대한 모색과 결실 - 『동동動動: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민속원, 2019)을 읽고 -
한국문학과 예술
2019 .06
민속지식의 생산과 공공성의 문제 : 마을 민속아카이브 구축과 관련해서
민속연구
2008 .02
지방박물관에서 마을민속의 자원화 과정과 방법
민속연구
2007 .02
민속문화, 무엇이 변하고 변하지 않는가
실천민속학 새책
2001 .09
가보지 못한 마을
시조시학
2012 .06
거기 마을 하나 있었다
황해문화
2013 .12
마을 외
시조시학
1995 .11
잃어버린 마을들 외 1편
시조시학
2016 .12
독일 마을민속아카이브의 역사와 특성
민속연구
2008 .02
민속학과 비교 연구 : 마을 민속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민속연구
2006 .02
머리글 : 마을 민속보고 방법의 길 찾기
민속연구
2003 .02
마을민속의 전승을 위한 보존ㆍ변용ㆍ활용
민속연구
2004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