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문제제기 : 안동과 전통문화
Ⅱ. 연구방법 : 대상 중심에서 맥락으로
Ⅲ. 핵심개념 : 전통문화, 정체성 그리고 민속의 재창조
Ⅳ. 일제 감정기 이후 안동의 역사
Ⅴ. 시기별 민속의 재창조 과정과 특색
Ⅵ. 결론
「안동 문화의 변화와 민속의 재창조」에 대한 토론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도시 속 민속의 창출과 지방문화원 : ‘안동문화원’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11 .05
Folklore and Thought
Korea Journal
1976 .06
중국 현대민속학 개론서의 기본 사상과 그 영향
비교민속학
2016 .04
안동소주 생산과 소비의 역사와 의미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6 .11
안동의 도시화와 토박이들의 ‘유교공동체’ 구축과 운영
한국민속학
2012 .05
鍾敬文과 중국민속학
비교민속학
1998 .05
Folklore, Fakelore, Folklorism: 소비에트 시대 민속과 민속학 연구 경향
슬라브학보
2008 .06
現代 民俗學의 對象과 課題 : 構造變化와 階層에 대한 獨語圈의 展開
한국민속학
1971 .06
2000년 이후 민속연구의 양상과 향후 민속연구의 보완 과제 모색
한국민속학
2020 .05
지역 만들기와 무형문화재의 정치학 : '전통문화의 보고' 안동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009 .02
지역민속에 의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와 방향 : 안동지역의 네 가지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08 .12
도시 속의 민속문화 전승양상과 도시민속학의 새 지평
실천민속학연구
2007 .02
중국민속학계의 동향과 한국 민속학의 설 자리 모색
한국민속학
2010 .05
지역축제의 전승과 민속의 변용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우
비교민속학
2008 .02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역동성과 진정성
민속연구
2013 .08
옛이야기 변용 교육의 가능역(可能域) 연구
문학교육학
2009 .01
Korean Folklore Reader
Korea Journal
1965 .05
중국의 민속학개론서를 통해 본 민속학
비교민속학
2016 .08
21세기 민속문화와 정책 방향
한국민속학
200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