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요약]
머리말
국가능력과 산업화정책 결정
산업화정책의 유형과 국가능력과의 상관성
한국과 대만의 국가능력과 수입대체산업화 정책
한국과 대만의 국가능력과 수출중심산업화정책
한국과 대만의 국가능력과 수출주도산업화정책수정(AELI) : 1980년대의 경제자유화와 경제민주화정책
맺는말 : 전환기 한국과 대만의 산업화정책전환과 국가능력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第3世界發展과 國家能力 : 95개국가간 비교계량분석
한국정치학회보
1990 .09
국가가 나서야 할때
관훈저널
2004 .04
1960년대 한국 발전국가의 형성과정 : 수출지향형 지배연합과 발전국가의 물적 기초의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000 .02
국가유형과 국가주도적 발전: 중국의 경제발전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010 .01
발전국가의 제도와 국가능력 : 박정희 정부의 산업화전략과 외자도입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009 .09
국가 마케팅과 한국 국가경영진단 적용
정치정보연구
2001 .06
국가마케팅과 한국의 21세기 국가발전 전략
21세기정치학회보
2001 .12
국가와 시민사회 : 한국 정치변동분석을 위한 서설
한국정치학회보
1991 .03
1 공화국의 국가구조와 수입대체산업의 정치구조
한국정치학회보
1988 .10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through the Case of Telecommunications Market Liberalization in 1990s
지역과 세계
2018 .01
국가정책 연구를 위한 종합적 접근 : 국가능력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992 .12
국가자율성, 국가능력, 국가 強度, 국가硬度 : 개념 및 용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1991 .03
한국의 국가모델과 민주주의 : 발전국가에서 공진국가로!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6 .12
발전국가 그 이후
서울행정학회포럼
2010 .11
세계화와 국가 개념의 변모에 관한 고찰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2005 .01
국가정책전환과 국가자율성의 구조적 성격 : 제5ㆍ6공화국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4 .03
그린 IT 국가전략의 의미와 기대효과
경남정책 Brief
2009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