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序論
2. 風格批評의 활용 양상
3. 風格批評에 반영된 詩論
4.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Poetic Criticism in the Mid-Joseon Period : Focusing on Arguments about the Tang and Song Styles in the Early 17th Century
Korea Journal
2005 .06
Methods of Criticism
Korea Journal
1980 .05
시적 형상화 기법에 따른 시 창작 교육 시론(試論)
한국시학연구
2010 .04
"融會衆作,不主一體" -后村诗论窥要-
중국어문학
2005 .01
中国文学“诗性批评”传统对当代文学研究的启示
석당논총
2009 .01
김기림의 과학적 시학 : 시의 사실을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09 .04
Trends in Criticism
Korea Journal
1979 .09
투명성의 시학 : 오규원 시론 연구
한국시학연구
2007 .12
Footprints of Art Criticism in Korea : From Absence of Criticism to Ideological Criticism
Korea Journal
1986 .01
박용철의 시적 언어론
어문학
2004 .03
Poetic Imagination and Language : On the Poetics of Bachelard
철학
1980 .07
창조적 비평 연구
우리말글
2003 .04
다시 새로운 시론을 위하여
어문론총
2019 .01
《詩品》,《書品》,《畵品》에 나타난 詩·書·畵 품평기준 ‘生命力’에 관한 小考
중국학논총
2013 .01
김혜순 시의 시적 공간 : '서울'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2009 .08
김복근 시조 연구 : 시세계의 전개과정과 시적 주제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2 .09
현대시에 나타난 시적 구조로서의 병렬법
한국시학연구
2003 .11
우리 시어의 근대성과 근대적 자각 : 김소월과 정지용의 시어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03 .11
김수영 시론의 원점으로서의 포로체험
한국시학연구
2019 .11
시의 소통 구조와 시 교육 학습자의 주체성 연구 - 임화의 「우리 옵바와 화로」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
2004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