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시어의 환경
3. 근대적 자각과 시어
4. 제재와 공간의식
5. 방언과 고유명사의 시어화
6. 결론: 우리 시의 근대성과 근대적 자각
참고 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Reconsidering the Poetic Theories of Chung Jiyong and Cho Jihoon from the Viewpoint of Western Linguistic Organicism
동서비교문학저널
2010 .12
Poetic Imagination and Language : On the Poetics of Bachelard
철학
1980 .07
박용철의 시적 언어론
어문학
2004 .03
시적 형상화 기법에 따른 시 창작 교육 시론(試論)
한국시학연구
2010 .04
Modern Korean Poets’ Concepts of Poetic Language in an Age of National Crisis 1910-1945 (Ⅱ)
Korea Journal
1990 .01
Modern Korean Poets’ Concepts of Poetic Language in an Age of National Crisis 1910-1945(Ⅰ)
Korea Journal
1989 .12
김기림의 과학적 시학 : 시의 사실을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09 .04
시란 무엇인가 : 박용철의 시론과 관련하여
한국학연구
2012 .12
투명성의 시학 : 오규원 시론 연구
한국시학연구
2007 .12
김수영 시론의 원점으로서의 포로체험
한국시학연구
2019 .11
한국 근대시의 토착어 지향성 연구 : 193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06 .11
시의 언어와 일상언어
동서문화
1982 .12
김복근 시조 연구 : 시세계의 전개과정과 시적 주제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2 .09
다시 새로운 시론을 위하여
어문론총
2019 .01
유기적 통일과 시어의 신성성 : 정지용의 시론과 시어관, 감각의 상관성
한국시학연구
2011 .08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론에서 시적 리듬의 위상
한국시학연구
2010 .08
『윤동주 시어 사전』, 이렇게 편찬하였다
한국사전학
2006 .04
김혜순 시의 시적 공간 : '서울'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2009 .08
시의 소통 구조와 시 교육 학습자의 주체성 연구 - 임화의 「우리 옵바와 화로」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
2004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