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3. 남한 주민이 모르는 북한 어휘
4. 남한 어휘 이질화의 원인과 극복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남북한 언어에 대한 비교 연구 : 발음과 어휘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2003 .01
『연세현대한국어대사전』(가칭)의 북한말 표제어 유형과 기술 방향 : 남북 언어의 접점을 찾아서
한국사전학
2005 .04
국어교육에서의 북한 어휘 교육 연구
국어교육연구
2009 .08
북한문학에 반영된 한국 현대사 연구 - 주요 역사적 사건을 통한 남북한 문학의 비교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2008 .01
《표준국어대사전》의 북한어 처리와 문제점
한국사전학
2005 .10
Language Policies and their Effects in south and north Korea
언어
1980 .12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Train North Korean Teachers to Adjust to South Korean Society :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North Korean Escapees
Korea Journal
2015 .12
구어 어휘의 어종별 분포 연구 - 문어 어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2016 .01
North Korean Industry, 1946-1950
Korea Journal
2001 .12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국어교육연구
2016 .10
Some Characteristics of Word Order in Korean
Korea Journal
1974 .09
남북한 언어에 대한 비교 연구 2 : 화술과 화법, 방송화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2004 .01
남북한과『역사비평』 : 25년의 성과와 방향
역사비평
2012 .08
The Political and Human Rights Issues Surroundi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6 .03
The Making of the Korean Language
Korea Journal
1974 .08
북한 6차 핵실험과 대외정책을 통해 본 남북한 교회교류 전망
신학과 목회
2017 .11
국어교육의 북한어 이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2015 .06
한자어와 고유어 혼용 표현의 양상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11 .01
A Study on Framing a Lecture on “Korean Culture through the Korean Language” for Foreign Student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5 .03
Whithe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Korea Journal
200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