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정현숙 (경성대학교,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도교수
천성문
발행연도
2014
저작권
경성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5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유아,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국내 학술지 논문만을 대상으로 성과 연구를 실시하여, 사전에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의 상이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통합적인 결론을 내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크기와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프로그램 진행 내용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 여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위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첫째, 검토 대상 논문의 선정 기준을 정하고, 1차 선정 기준에 의거하여 116편의 검토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둘째, 2차 선정 기준에 따라 분석 대상 논문에서 44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셋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코딩 양식을 만들고 자료를 입력하였다. 넷째, 메타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한 후, 최종적으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효과크기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고정효과모형으로 추정한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060, 랜덤효과모형으로 추정한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212로 95% 신뢰수준에서 고정효과모형은 .959에서 1.160, 랜덤효과모형은 1.010에서 1.414의 신뢰구간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어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유효하게 평균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Cohen의 효과크기 해석에 따라 큰 효과크기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종속변인별에 따른 효과크기는 사회적 기술(=1.063), 사회성숙도(=1.232), 친사회성(=.878) 순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구성원의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는 중고등학생(=1.504)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인(=1.217), 초등학생(=1.048), 유아(=.984) 순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구성원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정신분열(=1.21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반(=1.066), 신체장애(=.981), 저소득층(=.673)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집단상담 프로그램(=1.204)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체활동 프로그램(=1.073), 예술프로그램(=1.011),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882)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집단크기에 따른 효과크기는 4~10명(=1.44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21~30명(=1.371), 11~20명(=1.257), 40명 이상(=.892), 31~40명(=.838)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총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16~20회기(=1.12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31회기 이상(=1.121), 8~10회기(=1.106), 11~15회기(=1.023), 21~30회기(=1.009)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주당 회기 수와 1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당 회기 수는 주 1~2회(=1.20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 4회 이상(=1.181), 주 2회(=1.125), 주 1회(=1.026), 주 3회(=.868)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회기별 소요시간은 50분(=1.701)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60분(=1.208), 소요시간이 제시되지 않았을 때(=1.103), 70분 이상(=.941), 40분 이하(=.922)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가 높았으며, 두 번째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구성원의 연령에서는 중고등학생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구성원의 특성에서는 정신분열 환자가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집단크기는 4~10명일 경우, 총 회기 수는16~20회일 때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당 회기 수는 1~2회의 혼용이, 1회기별 소요시간은 50분일 때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목 차
표 목차 ⅲ
수식 목차 ⅳ
그림 목차 ⅴ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사회성 7
2. 메타분석 15
Ⅲ. 방 법 20
1. 연구대상 20
2. 자료의 분석방법 26
Ⅳ. 결 과 34
1. 출판편향 검사결과 34
2. 전체 평균효과크기 35
3. 종속변인별 평균효과크기 36
4. 프로그램의 진행내용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8
V. 논 의 50
1. 출판편향 검사결과 50
2. 전체 평균효과크기 50
3. 종속변인별 평균효과크기 51
4. 프로그램의 진행내용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52
Ⅵ. 요약, 결론 및 제언 56
1. 요약 및 결론 56
2. 제언 58
참고문헌 59
ABSTRACT 70
부록 72
1. 메타분석 대상 논문 72
2. 분석대상 논문의 특성요약 76
3. Coding Sheet 87
4. Coding Manual 9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