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개체명 주석 과정
Ⅲ. 방법론적 쟁점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구어 전사 말뭉치의 언어학적 주석과 활용
동서인문학
2020 .02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한국어 사건 개체명 연구
영주어문
2023 .02
≪莊子≫“畸人”形象考辨
중국어문논총
2016 .10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담화 분석적 논의 : 대화 행위 주석을 중심으로
한글
2016 .09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구축과 주석의 제문제: KoLLA (Korean learner Language Analysis)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2016 .01
디지털 정보기술을 활용한 근대한국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 ―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디지털의 눈으로 한국학을 읽다에 대한 서평
비교한국학
2022 .04
누가의 예수님 탄생기사(눅 2:1-7)에 관한 역사적-주석적 고찰
신학정론
2017 .12
『노자』에 대한 박세당의 이중성과 그 주석 시기
민족문화
2020 .12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석DB 활용 및 개선방안 연구
민족문화
2015 .06
일본근세기 신화주석의 의의와 그 주변
日本學硏究
2017 .01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미래 과제 — ‘ 주체적 개방성 ’ 과 관련하여
국학연구
2024 .11
형태 주석용 표준 지침의 방향성과 세부 쟁점
건지인문학
2017 .01
한국학의 방향을 다시 생각할 때
춘원연구학보
2024 .06
王文誥 《蘇文忠公詩編註集成》의 註釋에 대한 평가 문제에 관하여
중국문학
2024 .05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오류 주석의 쟁점과 실제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사람과 AI 모델 간의 화행 주석 개선 방향 연구
어문연구(語文硏究)
2024 .03
1920년대 신문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문학담론 고찰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문학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2022 .03
한국학의 정의와 방법에 대한 고찰 ― 김경일 저,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 비교 역사의 시각』의 서평
비교한국학
2021 .08
비한자어권 학습자의 한자 성어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대하여 - 어휘 주석의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를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
2021 .06
개체명으로서의 인명의 특성과 분류 체계에 대하여
우리말글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