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Kisang Kwon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Sangmin Le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Yanghwan Choi (Hwasa Burn Clinic) O-Yu Kw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eung-whan Ki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저널정보
한국생명과학회 생명과학회지 생명과학회지 제35권 제1호
발행연도
2025.1
수록면
54 - 61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쥐 골격근 아세포 세포주(L6)를 대상 실험에 따르면 20 mM 젖산(LA)은 소포체(ER) 막 샤페론 calnexin 유전자 발현을 42%까지 현저히 감소시킨다. 그러나 ER 내막 샤프론 BiP과 ERp29의 유전자 발현 수준은 눈에 띄는 변화가 없다. 또한, 이 농도에서 ER 막 통과 센서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을 현저하게 하향 조절한다. ATF6는 70%, IRE1은 96%, PERK는 81% 감소하였다. 동일한 20 mM LA 조건에서 발암과 같은 병리 생리학적 조건과 관련된 세 종류의 myokine인 SDF1, IL6, Vegfa의 유전자 발현은 50‒60% 감소하였다. 반면 Apelin, Visfatin, Decorin과 같은 다른 myokine의 발현 수준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골격근 세포에서 LA는 발암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myokine인 SDF1, IL6, Vegfa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LA는 ER 막 샤프론 calnexin과 ATF6, IRE1, PERK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단백질 생합성을 관리한다. 본 연구에서 LA의 이중적인 작용은 골격근 세포에서 발암 과정과 ER 스트레스 반응을 모두 조절하고있는 것을 보였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References
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5-02-092101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