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인식
3. 부산의 발전 양상과 현재 상황
4. 일본의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과 부산의 ‘축제’
5. 결론
참고문헌
要旨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일 문화 교류의 현황과 전망 -민간교류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23 .11
Factors for Sustainable Regional Revitalization: Analysis of Cases of Regional Revitalization in Japan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2
콘텐츠 투어리즘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가능성 모색
외국학연구
2017 .01
Union Strategy to Revitalize Weakening Worker Representation in South Korea
Korea Observer
2018 .03
고도 보존육성에 관한만족도 조사 분석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5 .01
과소지역의 지속가능성 탐색 - 지역재생으로서 마니와(真庭)모델 -
일본학보
2016 .01
일본 ‘마쓰리(祭り)’의 변용을 통해 본 지방창생
日本思想
2018 .01
중국 국유기업의 생산 비중과 지역별 경제성장 간의 관계분석 ― 지역별 특징에 따른 4대, 8대 경제권역별 지역 구분을 중심으로
중국학
2018 .01
러․일의 진출과 중국의 대응이 길장지구의 변화에 미친 영향
전북사학
2015 .01
왜구의 충청 지역 침구의 시기별 추이와 고려의 대응
사림
2015 .01
CiteSpace로 분석된 중국 내의 새마을운동 연구: 향촌진흥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중관계연구
2021 .10
일본어 놀이 어휘를 통해 살펴본 해역언어학 연구
일어일문학연구
2020 .01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과정 개정 현황과 쟁점 : 6차 교육과정에서 2015 교육과정까지
역사교육
2017 .03
루카치의 물화 개념의 마르크스주의적 성격 분석과 재활성화 과제
철학
2024 .08
도시재생의 정책방향― 일본의 경험과 한국에의 시사점 ―
일본학보
2022 .05
중부권 전문대학 운영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과 생산성 변화 추이
인문사회과학연구
2023 .08
우바스테야마에서 건강장수도시로 : 초고령화 시대의 지역활성화와 인구정치
일어일문학연구
2017 .08
운정 성낙서의 유가 유신론
동서철학연구
2023 .06
만주어 구어의 재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 —최후의 화자가 말한 자신의 삶과 언어—
알타이학보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