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전남지역 상징 지석묘의 분포와 특징
한국청동기학보
2023 .04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표상 -전통과 변형-
고고광장
2019 .01
지석묘사회에서 목관묘사회로의 전환- 전환의 과정과 주체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영남고고학
2024 .05
보성강·탐진강 유역 지석묘사회의 변동 양상 - 지석묘의 분포, 구조,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청동기학보
2021 .10
영남지역 묘역식지석묘의 특징과 구산동지석묘의 성격
고고광장
2023 .06
지석묘의 재활용과 그 의미
호남고고학보
2017 .01
Korea’s Dolmen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고창지역 청동기문화에 대한 검토
한국청동기학보
2021 .01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와 원삼국시대 분묘의 공간분포와 그 의미
마한백제문화
2018 .01
美湖川 유역 支石墓에 대한 綜合的 이해
역사와 담론
2020 .07
청동기 보급의 주체와 지석묘 축조 집단
백산학보
2016 .01
남인도지역의 지석묘 조사 연구 - 케랄라주(Kerala)와 안드라프라데쉬주(AndhraPradesh)의 지석묘를 중심으로 -
한국청동기학보
2017 .01
영산강유역 청동기시대 중기 분묘 일고찰 -석관묘와 석관형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청동기학보
2021 .10
함안지역의 지석묘 사회
사림
2021 .01
경주 지역 지석묘 문화의 특징과 종말기의 양상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청동기시대 암각화의 층위관계와 암각화 확산의 사회경제적 배경 검토
영남학
2018 .01
청동기시대 도서고고학의 시론적 검토
영남고고학
2022 .09
최근 20년 간 중국 동북지역에서 발견된 청동기의 조사와 연구
숭실사학
2021 .01
청동기사회에서 철기사회로의 진행과정 — 집단지향적인 사회구조에서 개인지향적인 사회구조로의 변화과정과 이데올로기의 전환 —
사림
2019 .01
호서지역의 지석묘와 그 보존 및 활용
야외고고학
2016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