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다시, 시적 정의를 묻다
시조시학
2018 .06
1930~40년대 수학여행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서사화의 의미
로컬리티 인문학
2017 .10
북한의 ‘수이전체 산문’의 연구 동향과 남북의 소통지점
통일인문학
2020 .12
문학치료 기초서사로서 형제서사 설정 문제-인간관계 발달과정에 따른 관계적 사건과 심리적 자리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18 .04
자전적 서사 구성을 통한 서사적 정체성 형성에 초점을 둔 서사교육 내용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문학연구
2023 .11
개화기 `독본`과 근대 서사(2) :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017 .06
문학치료에서 자기이해의 필요성과 방법
문학치료연구
2017 .10
단절과 고립의 시대, 고전문학에서 찾는 연결과 소통의 길 - 고소설 작품서사와 여성의 자기서사를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021 .01
“似而不同”:跨越百年的“还乡”叙事
건지인문학
2024 .02
여성 서사의 진화: 2020년대 여성 서사와 가족 서사의 재발견
외국문학연구
2024 .08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서사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소설교육 연구 분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21 .01
<고려세계>의 서사 구성방식과 그 의미
동아시아고대학
2016 .01
김원일 『늘푸른 소나무』의 서사구조와 그 의미망
구보학보
2016 .12
복합서사를 활용한 자기서사진단 가능성
겨레어문학
2017 .01
대안 이야기 탐색을 위한 서사 결합에 대한 연구 -<여우구슬> 설화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17 .07
뉴 미디어 시대 ‘서사’ 개념의 재정립과 고소설 연구의 방향
고소설연구
2023 .06
주변인물 ‘되기’를 통한 서사의 공감 방안 연구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주체’ 개념을 활용하여-
문학치료연구
2020 .01
말하는 어린이와 새로운 서사 양식
창비어린이
2019 .06
고전서사의 심층서사와 콘텐츠의 기획 교육-취약성에의 공명과 서사적 연대를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018 .01
SF 서사의 특징과 전략
창비어린이
201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