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들어가며
II. 연구 배경 및 기존 문헌 연구
III. 연구 방법 및 연구 참여자
VI. 재한 프랑스 청년의 이주 서사: 문화 다양성의 추구 & 프랑스 사회 ‘탈출’
V. 프랑스 청년의 문화권: ‘프랑스적인 것’과 ‘나답게 사는 것’
VI. 젠더 관점: ‘동상이몽’ 낭만주의와 젠더규범의 충돌
VII. 출신지 관점: 이주 배경 청년의 ‘익숙한’ 소수자성 vs ‘생소한’ 타자성
VIII. 한국에서의 사회적 위치 인식을 경유, 구성되는 문화적 정체성
VIIII. 결론 및 정책 제안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재한 프랑스 청년의 문화적 권리의 교차적 탐구: 젠더, 출신지별 차이들을 경유하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24 .12
언어와 이주배경 주민의 문화권
한국이민학
2022 .12
프랑스 안의 무슬림 : 공화주의와 문화갈등
국제관계연구
2015 .04
이주민 여성에 대한 프랑스의 정책과 시사점 : 한국의 이주민 여성에 대한 복지체계 연구에 주는 시사점
EU연구
2019 .01
다문화정책과 이주배경 학생의 교육포부: ‘문화적 권리’와 ‘시민적 권리’ 제도화의 효과
다문화사회연구
2022 .06
청년세대의 젠더 갈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24 .08
프랑스법에서의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논의의 전개 : ‘이미지권’의 재산권적 성격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비교사법
2016 .05
젠더/무의식과 장소 : 20∼30대 여성청년 이주민들의 ‘집’의 의미
미디어, 젠더 & 문화
2015 .12
프랑스 문화예술향유를 위한 지원정책 연구: 예술가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EU연구
2018 .01
Socio-psychological Mechanism and Governance Framework of the Cultural Assimilation for Arab Immigrants in France
글로벌문화연구
2020 .03
영화 속 프랑스 다문화: 『컬러풀 웨딩즈』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2019 .01
실질적 평등과 이주민의 인권
국제법학회논총
2022 .12
헌법상 문화국가 원리의 의미와 바람직한 전개 방향
헌법학연구
2021 .12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인권 문제
도덕윤리과교육
2019 .02
북아프리카 모로코 이민자 정착문제와 무슬림에 대한 인식 :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아프리카학회지
2018 .12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019 .12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프랑스의 언어·문화교육 정책 : 한국사회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2018 .06
지역사회 사회통합을 위한 문화다양성 증진방안 연구
지역사회연구
2019 .09
프랑스 청년 정치의 발전과 그 배경
의정연구
2024 .04
한국 문화다양성 정책의 성과와 한계 및 정책제언
한국이민학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