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기태 (건양대학교)
저널정보
새한영어영문학회 새한영어영문학 새한영어영문학 제65권 제4호
발행연도
2023.11
수록면
245 - 265 (2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English sentences, the subtle semantic differences that the sentences used modal auxiliaries connote are not easy to distinguish. This is likely to be true when the participants of conversation imply the speaker’s attitude as a pragmatic concept for a proposition in context. Of modal auxiliaries, it is obvious that can and may have similar meanings, but they have been separately treated in grammar. Though can and may are treated to be discrete modal auxiliaries, diverse articles remark that the overlapping phenomena of them appear in meaning. I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theory established until now. I think that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can and may is not only a partially matched sharing but also a theoretical possibility. To discuss these issues, I will scrutinize the overlapping phenomena and the inclusion relationships of can and may through the concept of ‘the possible world’. On the view that can has broader scopes than may as a modal expression, I will prove and explain the modality of can and may,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Ⅰ. 시작하는 말
Ⅱ. can과 may의 선임 연구
Ⅲ. 가능성의 개념 및 can과 may의 포함관계
Ⅳ. 맺는 말
인용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8451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