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을 기억하자
동북아역사리포트
2022 .09
관동대지진 시의 조선인 학살 부정론 비판 - 구도 미요코의 영국 외교문서 해석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2023 .11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과 일본 내 운동세력의 동향 : 1920년대 재일조선인 운동세력과 일본 사회운동세력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5 .09
식민지 조선에서 관동대지진의 기억과 전승
동북아역사논총
2015 .06
관동대지진 이후 일본 출판콘텐츠에 나타난 혐한 의식 - 『간토 대지진과 작가들의 심상풍경』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2 .05
[간토대지진 100주년] 반복될 일본의 자연재해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지식의 지평
2023 .05
간토 조선인 학살 100주년
푸른사상
2023 .03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연구의 과제와 전망 : 일본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5 .06
「近日所感」을 통해서 본 관동대지진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3 .11
1923년 일본 관동대지진 시 학살된 한인과 중국인에 대한 사후조치
동북아역사논총
2015 .06
관동대지진 속 언어적 차별 현상에 관한 연구― 역사사회언어학으로 본 다문화공생의 변화를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4 .02
살림과 연대의 극적 상상력 : 배봉기 희곡 〈물의 노래〉에 나타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24 .06
관동대지진 100년(2023), 학살 희생자 추념과 기억 : 황모과, 「연고, 늦게라도 만납시다」와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동악어문학
2023 .10
1920년대 두 번의 조선인학살-‘나카츠카와 사건, 기모토 사건’-의 실태와 관동대지진 때 학살과의 비교 분석
한일관계사연구
2020 .02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은 ‘시무(時務)의 역사’ - 재일사학(在日史學)의 개척자 강덕상 선생을 그리워하며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9
시베리아출병이라는 트라우마가 가져다준 ‘인재’―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의 전사 ―
일본학보
2024 .02
마크 램지어의 역사부정과 소수자 혐오 -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재일조선인, 부라쿠민 서술 비판 -
여성과역사
2021 .06
조선인 학살과 유언비어, 배제와 연대의 서사
일본학보
2024 .02
관동대학살에 대해 해외 조선인이 생산한 문건과 그 성격
동국사학
2022 .08
간토대지진 및 대학살 100년, 한일청년평화포럼 : 100년 전 비극의 역사로부터 빛날 연대를 다짐하며
통일인문학
2023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