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전래동화 「해와 달」의 생성 양상 고찰 - 미와 다마키(三輪環)와 주요섭의 자료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24 .06
독자로서 글 쓰는 자신을 바라보다 : 성민선, 《섬세한 보릿가루처럼》(SUN, 2020)
수필미학
2020 .12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대학생의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반응과 그 문학치료적 의미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21 .01
해와 달이 될 오누이 외 1편
창비어린이
2019 .06
불안정애착 어머니의 서사적 특성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 만들기를 통한 서사적 반응연구-
문학치료연구
2019 .01
서사 간 관계 중심의 설화 이해 교육 연구 - <창세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연오랑세오녀>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19 .01
1920년대 개벽사의 ‘조선동화’ 전승과 동화화 양상
한국민족문화
2019 .05
구비문학을 활용한 어린이박물관 체험전시 발전 방안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시를 중심으로
어린이와 박물관 연구
2016 .06
설화 반응을 통해 본 자기애 성향 참여자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활용
문학치료연구
2024 .01
고전 설화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살펴본 우리 사회의 불안 - ‘해님 달님 이야기’와 영화 <장산범> -
동아시아고대학
2018 .01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와 키르기스스탄의 <구리할머니와 두 소녀> 이주민설화의 ‘잡아먹는 모성상(母性象)’ 화소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韓國古典硏究
2021 .11
[동화] 어느 별 이야기
창비어린이
2019 .09
옛이야기의 놀이성과 변신과 성장의 미학 :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팥죽할멈과 호랑이』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6 .08
Multiliteracies-based Language and Intercultural Learning through Folktale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01
<박만득박금단전>에 나타나는 남매이합(男妹離合) 서사의 양상과 창작 동인 연구
고소설연구
2021 .12
어린이의 사회화와 원형화소 시론 :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016 .02
남북한 초등 국어교과서 수록 전래동화 비교 연구
동화와 번역
2016 .01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달
중국문화연구
2022 .11
서정의 안개, 생각하는 나무 : 장석규 포토에세이 《너에게 나무가》(도서출판 SUN, 2018.)
수필미학
2018 .09
러시아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 전래동화를 제재로 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
노어노문학
202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