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방기 좌익 매체의 지도자상과 김일성 형상 -‘수령형상’의 기원과 형성 탐색을 위한 시론(2)
민족문학사연구
2020 .01
설립 초기 김일성종합대학의 소련계 한인 교원들
동악어문학
2024 .06
북한의 항일서사 연구시론
통일인문학
2017 .09
한국전쟁기 북한문학의 ‘애국주의’ 형상화 논쟁
민족문학사연구
2020 .01
신화가 지배하는 정치체제, 북한
신종교연구
2023 .04
김일성 저작집을 통해 본 북한의 기독교 인식과 대응논리 연구
ACTS 신학저널
2019 .01
문화통일전선의 관점에서 본 국가 건설기북한문학의 형성과 전개, 1945.8.15.~1950.6.24.
이상리뷰
2024 .06
북한의 외국인 대상 조선어교육 운영 실태 분석 연구 -김일성종합대학교 연수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021 .08
북한 고등학교 『조선력사』 교과서 ‘머리말~발해와 신라’ 부분의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 고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2 .06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특성 비교 연구 : 지도자 우상화의 ‘신화적 사고’ 접근 유 · 무 비교분석을 중점으로
통일인문학
2016 .12
김일성·김정일 집권기 북한의 무형유산 인식과 김정은 시대의 계승 및 보호사업
무형유산
2024 .06
마오쩌둥, 김일성 및 스탈린의 정전 협상 전략 연구: 동상이몽(同床異夢)
역사학보
2025 .03
보성전문학교에서 김일성종합대학으로 : 식민지 지식인 김광진의 생애와 경제사 연구
역사학보
2016 .12
북한의 고조선 교육과 ‘김일성민족’의 단군 -1993년 이후 고등중학교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韓國史學史學報
2015 .01
A Blatant Lie: The North Korean myth of Kim Il-sung liberating the country from Japan
Korea Observer
2018 .06
A Study on Reading Joseoneo Textbooks for Students Studying Joseoneo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1): Publications from Kim Il-sung University and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Journal
2021 .12
조선후기 悼亡錄의 편찬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
2021 .12
북한 교과서 ‘고전시가 해석’의 한 양상 : 고등중학교 4학년 『문학』(1997)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3
‘上’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한중일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2016 .01
북한의 제1차 5개년계획(1957~61) 초안과 탈소련화의 개시
역사학보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