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ntroduction
Ⅰ. Goryeo Prefectures, Counties, and Japanese Pirates
Ⅱ. Damages Ascertained from Geographical Appendixes
Ⅲ. Restoration Measures and King Gongyang’s Gammu Policy
Concluding Remarks
BIBLIOGRAPHY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햐쿠타 나오키(百田尙樹)의 『영원한 제로(永遠の0)』와 『해적이라 불린 사나이(海賊とよばれた男)』고찰
일본문화학보
2018 .08
천미포 왜변과 후기왜구의 상관관계 고찰
탐라문화
2024 .03
A New Interpretive Approach to the Japanese Pirates in Medieval East Asia: The Dispatch of Goryeo Envoys to Japan in 1366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1 .12
설화를 통해 본 ‘제주도의 왜구’
도서문화
2020 .12
고려말 왜구의 섬 침략과 군사적 대응
도서문화
2024 .06
경남 지역의 왜구와 낙동강
역사와경계
2022 .04
帝國 日本의 中國侵略과 倭寇像의 變用
인문학연구
2015 .01
황금기 대서양 해적의 ‘해적 규약’: 대안적 사회 질서의 가능성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0 .10
고려시기 강진지역의 군현변동과 도시성격
다산과 현대
2016 .12
여말선초의 濟州와 倭寇
한국민족문화
2020 .05
13~14세기 고려 지식인의 시대 인식과 정체성
역사와현실
2020 .03
주몽고려,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의 단절과 계승
역사와현실
2018 .09
동해안의 왜구와 쓰시마 早田氏
한국민족문화
2018 .05
三婆神, 媽祖, Joss: 19세기 남중국해 해적과 해양 신앙
인문사회과학연구
2021 .01
고려는 어쩌다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로 인식됐을까
역사와현실
2021 .09
기해동정(己亥東征)과 왜구의 한-중 황해 북부 침입 양상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 고찰
동양사학연구
2024 .12
Perception of Goryeo Celadon in the Context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06
[연구노트] 하륜(河崙)의 「이 부사에게 준 시의 서문(贈李府使詩序)」 - ‘나가온 왜구 집단’에 대한 오해와 정정 -
한일관계사연구
2023 .05
고려 우왕 대의 군사화
민족문화연구
2024 .08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일관계사연구
2018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