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말
Ⅱ. 제22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2)의 주요 의제
Ⅲ. COP22의 주요 결과 평가
Ⅳ. 우리 입장과 향후 과제
Ⅴ. 맺는 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파리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 평가와 전망 -
계간 외교
2016 .01
리마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주요 결과 및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15 .01
[해외 사례⑤ : COP27]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 기후변화 피해 개도국 보상 국제기금 첫 합의
지방정부
2022 .12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 습지교육 결의문 제안과 그 의의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2 .06
신기후변화체제에 대비한 도시정책 방향
국토정책 Brief
2017 .03
제9차 UN 장애인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당사국 회의
연구자료
2017 .03
마라케쉬 당사국총회(COP22)의 기후재원 논의와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16 .12
국제환경협약의 국내법적 이행에 관한 연구
환경법연구
2017 .01
기후총회 약속… 130여개국 "탄소배출 음식" 줄인다
나침반 36.5도
2024 .01
파리협정과 Post-2020 신기후체제의 서막 :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총회의 주요 쟁점과 합의 결과를 중심으로
환경법과 정책
2016 .02
신(新)기후변화체제에 대비한 국토 · 도시분야의 전략 및 과제
국토정책 Brief
2016 .02
생물다양성협약 상 분쟁해결제도 연구
법학연구
2020 .01
기후변화, 이제 행동해야 할 때
지방정부
2021 .03
フランス「労働改革法」の成立 : 規範の逆転と企業協定の締結システム
노동법논총
2018 .08
기후변화 교재의 그림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인식·기후변화 대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2 .12
직접민주주의 시대를 여는 주민총회!
이슈&진단
2022 .04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의 주요 내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경남발전
2018 .03
신기후체제와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발전적 해석 시 당사국 공동의 의도 : 그 역할 및 추정된 의도의 문제점
서울국제법연구
2015 .06
쿤밍 생물다양성협약 총회, 새 프레임워크 초안 공개
한경ESG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