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론
2. 북한의 교육 관련 법 체계
3. 북한 예술 교과서 편제와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한의 시 교육 연구 - 초급중학교와 고급중학교 교과서의 작품과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21 .12
북한의 시대별 교육담론
통일인문학
2019 .09
남북한 문화예술교육방법의 비교: 정부간행 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19 .01
북한 소학교 5학년 국어 교과서의 문법 교수·학습 내용 연구
어문학
2024 .09
예술교양의 형성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이해
현대유럽철학연구
2022 .04
북한 국어, 문학 교과서의 주체사상 교양 교육의 내용 요소 탐구
문학교육학
2019 .01
‘주체사상 생명론’의 비판적 상황화 담론을 통한 북한 이탈주민 선교방안
생명과 말씀
2020 .01
북한의 도자사 연구 동향과 그 의미
역사와 담론
2020 .07
북한 초급중학교 쓰기교육 내용 분석-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
작문연구
2018 .01
북한소설『꽃파는처녀』를통해본 혁명과 유일신 체제 정당성 고찰
신학과 학문
2022 .04
고급중학교 『국어문학』교과서에 나타난 북한 문학교육의 특성 - 현대소설/영화 단원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2020 .03
코리아 문학의 시각과 문학교육
민족문학사연구
2020 .01
2000년대 이후 북한의 한문학 연구 경향
한국한문학연구
2019 .01
〈만수대 마스터 클래스〉: 아프리카의 북한 예술
문화과학
2018 .12
예술은 없다
월간에세이
2019 .06
21세기 중국에서 바라본 북한미술 -북한미술의 전시 및 유통의 확대와 새로운 사회주의 미술 취향의 형성-
인문과학연구
2021 .08
교양예술교육의 목적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사유-실러의 미적 교육론의 관점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18 .01
북한 교과서 ‘고전시가 해석’의 한 양상 : 고등중학교 4학년 『문학』(1997)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3
북한 연구에서 북한 문화연구로
문화과학
2018 .12
2000년대 북한여성의 패션과 소비문화
통일인문학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