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정의현감 임명과 부임
3. 제주도 인식과 지역정보의 습득
4. 정의현감 업무 수행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槐院新參同會錄』을 통해 본 숙종대 承文院 分館과 免新禮 시행 양상
한국사학보
2024 .08
Next of “King”
Localities
2016 .11
조선후기 조선·청 관계와 국왕의 건강 문제-숙종 초반 교영례(郊迎禮)를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의사학
2020 .12
숙종(肅宗) 대 관상감 제조의 역할과 활동
한국과학사학회지
2021 .01
조선왕가의 식치(食治)에 사용된 인삼속미음(人蔘粟米飮)의 기원 및 의미에 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5 .01
고려 문종-숙종의 현종 계승 의식과 남경
[TCHCCOS] 서울과 역사
2023 .10
숙종조 어필 수집 양상과 숙종의 어제 찬술
장서각
2021 .04
肅宗․英祖代 科擧制와 科文의 推移와 쟁점에 관한 일고찰
한국한문학연구
2021 .09
<숙종대왕실긔(肅宗大王實記)>의 서술적 특성과 형상화 방식 연구
어문론총
2021 .12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선조·인조·숙종의 御製·御筆 현판 게판과 형태
장서각
2021 .04
『승정원일기』 제주기사(숙종대) 해제
탐라문화
2020 .01
숙종대의 문묘(文廟) 정비와 그 의의
역사와현실
2021 .03
숙종대 金邦杰의 생애와 정치 활동
한국인물사연구
2015 .03
숙종의 題畵詩文을 통해 본 국정 운영의 지향점
韓國史學史學報
2022 .06
조선의 冕服: 정치와 외교의 修辭
역사민속학
2022 .06
조선 숙종 대 장희빈의 왕비 책례 거행과 그 함의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1 .06
숙종대의 『여지승람』 수정증보 사업과 그 의미
동방학지
2019 .01
숙종의 독후시 제작과 그 의미
민족문화
2021 .03
唐 肅宗대 보승불 신앙과 신라승 無漏
신라사학보
2018 .12
조선후기 정종 후릉(厚陵)의 수개와 그 영향
동방학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