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학생들의 삶의 장소이며 지역생활의 중심지이다. 학교환경에서 배우고 자라는 학생들에게 교육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상징물은 무척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영월지역 학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필자는 영월지역 학교의 상징물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았다. 먼저 영월지역 학교의 조형물은 주제별로 위인, 교육, 동물, 기타 등 총 4개로 나뉜다. 첫째, 위인 조형물로 이순신, 세종대왕, 유관순, 신사임당, 이승복 등이 있다. 둘째, 교육 조형물로 독서, 체력, 사제동행, 국민교육헌장탑 등이 있다. 셋째, 동물 조형물로 사자, 기린, 하마, 곰, 악어, 물개, 거북, 해태, 코끼리, 표범 등이 있다. 넷째, 기타 조형물로 영월공고 동문 위령 조형물과 영월고 전재규 조형물이 있다. 이런 영월지역 학교 환경조형물을 관리하기 위하여 환경조형물에 관한 인식을 확고히 하고 조형물의 주제를 지역 문화유산과 학교의 특성을 반영한 조형물로 설치한다. 더불어 조형물의 관리 및 보수에 신경을 써야 한다. 다음으로 영월지역 학교의 교목 및 교화는 전체 27개교에서 교목 8종, 교화 7종으로 나타났다. 교목으로 향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회양목, 주목, 전나무, 좀찹느릅나무 등이 있고, 교화로 장미, 철쭉, 진달래, 개나리, 목련, 해바라기, 벚꽃 등이 있다. 향후 영월의 생태자원에서 자라고 있는 고유의 특산식물을 교목 및 교화로 지정하여 영월만의 특성을 살려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추천할 수 있는 식물로는 할미꽃, 쪽, 박주가리 등이 있다. 결국 학교의 주인인 학생과 교직원을 위한 조형물이 많아지고, 학교 및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교목 및 교화가 학교에 자리한다면 누구나 쉽게 학교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 school is q life place for students and a regional center. A symbol is highly important in that it serves a educational function for students who study and grow in school. Thus, this writer focused on school symbols in Yeongwol and reserched its meaning and value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school. First of all, school sculptures in Yeongwol are classified into 4 types by subject including great man, education, animal and other things. First, sculptures of great man are Yi Sunsin, Sejong the Great, Sin Saimdang, and Lee Seung-bok. Second, education sculptures are reading, physical strength, companion of teachers and pupils and a tower of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Third, animalsculptures are lion, giraffe, hippopotamus, bear, crocodile, seal, tutle, haetae and leopard. Fourth, other sculptures are the sculpture for the spirit of the dead alumni in Yeongwol technical high school and Jeon Jae-gyu sculpture in Yeongwol high school. The recognition for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should be consolidated and sculptures should be constructed reflecting the local cultural heritage and school features to manage these environmental sculpture in Yeongwol. In addition, the management and repair of sculptures should be monitored. Next, the school trees and flowers in Yeongwol are identified as 8 kinds of trees and 7 kinds of flowers in total 27 schools. School trees are juniper, zelkovam, ginkgo, pine, boxwood tree, Japanese yew, fir, Lacebark elm and so on. School flowers are rose, royal azalea, azalea, forsythia, magnolia, magnolia, cherry blossoms and so on. Thus, it is imporant to designate indigenous special plants in ecological environment of Yeongwol as a school tree or school flower in order to emphasize its own characteristics of Yeongwol. The recommended ones are pasqueflower, polygonum indigo and milkweed. In conclusion, as sculptures for students and school personnel as members increase and school trees and flowers grow in school reflecting the traits of school and the region, everyone will easily underst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