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세책본 계열 <김원전>의 특징과 의미
고전문학연구
2024 .06
鄭元容의 仕宦期 交遊 關係 硏究
고전과 해석
2021 .01
여천黎泉 이원조李源朝 발굴 시詩 연구
국학연구
2019 .11
무인시조의 실체와 정서 표출 양상
인문학연구
2016 .01
순조대 전반기 정국 변동과 의리론의 추이
한국사연구
2018 .03
일제강점기 원불교계와 독립운동의 상관성에 대한 시론적 검토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6
김남조의 시쓰기와 진정성의 시학
한국시학연구
2022 .02
1910년대 조선-서양 근대 지식인의 고시조 담론
코기토
2017 .02
김조규 시의 공간적 특성과 소재 상관성 연구 - 재만 시기(1939-1945)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2019 .01
세조, 초월적 절대군주를 꿈꾸다 (김순남, 2022, 『세조, 폭군과 명군 사이』, 푸른역사)
한국사학보
2023 .02
원불교 진리관 연구의 종합적 검토와 과제 - ‘일원상의 진리’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09
성주 소성리의 사드배치반대운동과 원불교의 미래
종교연구
2017 .12
靜谷 曹信天의 家訓書 『筆語』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2018 .01
접촉과 접속, 다른 기억으로 야담 만들기 -<조광조 일화>를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2022 .12
조선후기 ‘원균 이미지’의 변화상과 ‘원균 비판’의 정치성
역사와교육
2016 .01
문화적 이질성을 초월한 페미니즘 - 조남주 소설의 중국어 번역과 수용 양상 연구 -
한국언어문학
2024 .07
『담정총서(藫庭叢書)』 소재 전(傳) 문학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
2023 .02
시가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 게일의 미간행 영역시조와 시조 담론의 계보학 -
열상고전연구
2015 .08
조지훈 시의 동아시아적 미학과 존재론: 홍자성의 『채근담』의 영향을 중심으로
동서비교문학저널
2020 .09
조선 초 궁녀 조두대의 생애와 女謁
한국사학보
2022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