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Democratization and Revival of Civil Society
The Emergence of the South Korean Civic Movement and its Growth
Awakening of Civil Society, and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the Civic Movement
Changes in the Topography of Civil Society and in the Civic Movement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문학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가능성 연구 -이야기그림책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19 .01
엘리자베스 비숍의 「대기실에서」에 나타나는 기하 추상과 바이오모픽 추상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2022 .03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운영기반 분석과 개선 방안
한국학논집
2017 .06
한국 청소년의 시민적 참여와 관련 변인 탐색: 종단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2
The Political Economy of South Korean Trade Growth and Social Change, 1963-2013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7 .03
한국교회 주요 사회참여 변화에 관한 연구: 1987년 민주화 이후
신학지남
2022 .06
영어와 한국어의 공범주 현상 비교 분석
현대영어영문학
2018 .01
3 · 1운동사 연구의 최근 동향과 방향성
역사와현실
2018 .12
남북교류와 시민사회
통일인문학
2019 .06
Civic and Political Engagement of Korean Chinese (Joseonjok) in Korea:Case of Activists
Korea Observer
2017 .06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for Democracy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of Korea
윤리연구
2015 .11
한국 근현대기 청담의 마음사회론에 기반한시민교육 모델 개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023 .02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신뢰와 시민적 참여: 시민적 효능감과 차별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담론201
2022 .02
South Korea and Japan, the Last Fifty Years: Changing Lives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5 .12
영어와 한국어의 이동현상에 대한 연구
영어영문학
2018 .08
한국의 경제적 발전과 사회적 변화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2016 .01
한국의 민주시민교육과 ‘공민’개념의 형성 : 미군정기 및 1950년대의 중등교과서 분석
민족연구
2023 .03
The Paradoxes in Globalization’s Economic Empowerment of South Korea
Korea Journal
2015 .03
메리토크라시와 존엄의 정치 : 시민적 주체의 형성 문제와 관련하여
사회와 철학
2016 .10
论韩国政府对中国朝鲜族赴韩就业政策的演变
재외한인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