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 산대(山臺)의 역사적 전개
한국문학과 예술
2018 .12
무역으로 재조명된 16세기 한중관계사의 외교적 레토릭, “예의지국” : 『16세기 한중무역 연구-혼돈의 동아시아, 예의의 나라 조선의 대명무역』(구도영, 태학사, 2018)
역사비평
2019 .08
호남한시의 미학과 서술시 가능성 탐색 - 최한선 · 김학성《고전시가와 호남한시의 미학》(태학사, 2018) 서평-
동아인문학
2020 .03
지평 19호를 펴내며
지식의 지평
2015 .12
지평 18호를 펴내며
지식의 지평
2015 .04
조선 후기 연희 문화의 독자적 면모-공연 공간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024 .08
대한제국기 한성부의 연희문화와 연희공간의 조직
[TCHCCOS] 서울과 역사
2016 .02
『두만강 유역의 조선어 방언 사전』에 대한 서평 - 곽충구(2019), 『두만강 유역의 조선어 방언 사전』(태학사, 2019) -
어문론총
2021 .01
김지하 희곡 <진오귀>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2018 .12
<송파산대놀이> 문화재 지정 전후 연희자 연구
공연문화연구
2018 .01
[서평] 동아시아 산대 전통의 맥락에서 재조명한 한국 산대‧산대희‧본산대놀이 - 『산대희와 본산대놀이: 동아시아 산대 전통의 보편성과 한국의 독자성』(전경욱, 민속원, 2021)
공연문화연구
2024 .08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의 연구 성과와 새로운 전망 : (장동표, 2015,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 연구』, 태학사, 473쪽)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5 .11
[최재목의 ‘글+쓰기 철학’ ④] 글+쓰기의 새로운 지평
수필미학
2023 .12
시리즈물의 내적 동력은?
창비어린이
2022 .09
<한낮에 꿈꾸는 사람들>을 통해 본 극예술연구회 1935년 제8회 공연의 실상과 위상 ―작품의 개작 양상과 공연 정황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2020 .01
18 · 9세기 동아시아의 대중 연희예술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韩中日三国演戏史上的神山 - 造型特征及其互相关系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17 .11
시리즈의 다양한 즐거움
창비어린이
2016 .09
[지난호 이렇게 읽었다] 동화의 새로운 가능성 ‘시리즈’
창비어린이
2022 .12
산대탈의 유형과 특징
한국민속학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