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공정대표의무의 의의 및 도입배경
Ⅲ. 공정대표의무의 적용범위 획정
Ⅳ. 적용범위 관련 쟁점과 사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교섭대표노조의 법적 지위 관점에서 본 공정대표의무의 의의와 내용
노동법포럼
2016 .02
복수노조하에서 조합간 차별과 공정대표의무 및 중립의무 위반 여부 - 대상판결: 부산고등법원 2018.12.13. 선고 2018나11667판결(1심 판결: 창원지방법원 2018.5.17. 선고 2017가합52453 판결) -
노동법논총
2020 .12
교섭창구단일화와 관련된 노동위원회 분쟁의 현황과 평가(Ⅰ) - 공정대표의무 위반을 중심으로 -
노동법포럼
2015 .02
공정대표의무제도의 법적성격과 내용 - 미국 공정대표의무 법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노동법논총
2020 .12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하에서의 소수 노동조합의 단체교섭권 보장방안 - 공정대표의무의 실효성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
노동법논총
2023 .04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공정대표의무에 관한 연구
강원법학
2023 .02
사용자, 사용자단체와 교섭창구 단일화 및 공정대표의무 - 대법원 2016두42654 판결과 대법원 2016두41248 판결을 중심으로
사법
2021 .01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절차적 공정대표의무 - 대법원 2020. 10. 29. 선고 2017다263192 판결을 중심으로 -
노동법연구
2021 .09
단체교섭 과정에서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절차적 공정대표의무
사법
2021 .01
공정대표의무위반 시정신청 신청기간의 기산점에 관한 해석상 쟁점
사회법연구
2020 .01
교섭대표노동조합과 그 대표자의 의무와 단체협약의 효력
민주법학
2020 .01
교섭대표 노조의 법적 지위와 공정대표의무의 내용 및 위반의 효과 - 서울중앙지법 2016.07.21. 선고 2014가합60526 판결을 대상으로 -
안암법학
2017 .01
교섭창구단일화를 통한 단체교섭에서 사용자의 의무와 의무위반의 부당노동행위성 — 대상판결: 대법원 2021.8.19., 선고 2019다200836 판결(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창원 제1민사부) 2018.12.13., 선고 (창원)2018나11667 판결) —
사회법연구
2021 .12
사용자단체가 체결한 단체협약에서 공정대표의무 위반에 대한 시정명령 상대방 - 대법원 2019. 4. 23. 선고 2016두42654 판결을 대상으로 -
노동법학
2020 .09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 유지기간의 관한 고찰
법학연구
2021 .09
복수노조 하에서 중립유지의무와 공정대표의무의 관계에 관한 검토 - 부산고등법원 2018. 12. 13. 선고 2018나11667 판결을 소재로 -
한양법학
2021 .08
복수노조와 부당노동행위 : 노동조합들 간의 분쟁과 부당노동행위
법학연구
2016 .02
복수노조 병존과 부당노동행위 - 단체교섭에 따른 차별적 처우와 사용자의 중립의무를 중심으로 -
노동법논총
2020 .12
교섭단위분리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2021 .08
노사관계측면에서 바라본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현황과 시사점
노동법포럼
201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