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유해석 (총신대학교선교대학원)
저널정보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복음과 선교 복음과 선교 제60권 제4호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417 - 450 (3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슬람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오늘날 그리스도의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커다란 도전 가운데 하나이지만 기독교의 전통으로부터 오는 암시를 통해서 배울 수 있다. 전 세계이슬람 인구는 1930년에 2억 3백만 명이었으나 매년 2.32% 증가하여 2020년에는 16억 명이 되었다. 이슬람 인구가 2억 4백만 명이었을 때는 매년 평균 4-5백만 명 정도로 증가했지만 16억 명이 되는 지금은 매년 3700만 명이 성장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슬람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 이슬람 인구가 얼마인지 정확하게는 알 수 없지만, 박성수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사람들의 73%가 기독교인들이다. 따라서 한국교회가 이슬람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슬람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이슬람이 어떤 종교인지에 대한 이해가 시급하다. 한국에서는 이슬람을 타 종교로 인식하지만, 오랫동안 이슬람과 역사를 함께했던 비잔틴 제국에서는 이슬람을 기독교 이단으로 여겼다. 또한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존 칼빈(John Calvin), 하인리히 불링거(Heinrich Bullinger)와 같은 종교개혁자들도 이슬람을 기독교 이단으로 보았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면서 먼저 이슬람에 대한 외부자의 시각과 내부자의 시각을 살펴보고, 이슬람의 탄생 배경과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의 생애에 영향을 준 기독교, 그리고 아라비아반도를 둘러싼 기독교의 역사적, 신학적인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슬람이 기독교적 배경에 의하여 형성된 종교임을 밝히고 이슬람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분별의 척도를 세우고자 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