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효자전, 경전과 관행의 사이 - 조선 초 왕조실록의 효행 통계를 중심으로 -
양명학
2021 .06
[상여 메던 청년들] 고향으로 돌아온 청년들이 전하는 상여소리
월간 옥이네
2025 .02
宣祖代 搢紳 逆謀 事件 −정여립 모반 사건의 性格과 政局 구도를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2020 .01
목재 홍여하의 양명학 비판 양상 일고
漢文古典硏究
2019 .01
[다른 지역 상여소리] 삶터를 지켜온 섬 여인들 : 연도여자상여소리
월간 옥이네
2025 .02
黃汝一의 「朱孝子傳」 一考
동방한문학
2019 .01
일본 언론을 통해 본 여운형의 일본 방문
한국사학보
2024 .08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도학사상
온지논총
2018 .01
민요에 나타난 ‘존엄성’에 대한 인식체계
구비문학연구
2024 .03
주체와 타자의 비판적 대화로서 영문학하기(『대화적 상상력과 영문학의 비판적 이해』. 여홍상 지음.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영어영문학21
2018 .06
봉평 메밀도리깨질소리의 음악적 특징
강원민속학
2019 .03
『묵재일기』 모친상으로 본 『가례』 식주(食住) 규제의 실천과 변통
한국민속학
2021 .05
상실 주체와 ‘상실 주변’의 ‘(불)가능한 애도’ 양상 연구 - 권여선의『레몬』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1 .09
백석 시 <여승>에 활용된 전통적 율격과 그 의미
국문학연구
2020 .01
임진왜란 피로인 여대남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연구 -혼묘지에 남겨진 4통의 편지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22 .02
‘上’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한중일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2016 .01
치기놀이의 효용과 가치
남도민속연구
2024 .01
An Experimental Study of Yeo (2006, 2011): -Key/-Tolok Alternation of Result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언어정보
2016 .01
出喪 前夜 喪家에서 행해지는 葬禮놀이
문물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