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요약
1. 서론
2. 청소년 독자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육의 전제
3. 청소년 독자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육의 방향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그림책] 독자를 넓혀 가는 그림책
창비어린이
2018 .09
넓어지는 그림책 독자
창비어린이
2021 .06
그림책 독자의 공감 지도 연구 - 교사 발문 방식을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9 .01
눈이 놓친 것들을 일깨워 주는 그림책
창비어린이
2021 .03
그림책에서만큼은 흥겹게
창비어린이
2021 .09
2022년, 당신이 몰랐던 그림책은 지금
자음과모음
2022 .06
예술로서의 그림책 연구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17 .12
사회성 증진을 위한 그림책 수업 방안 연구 ― 입학 초기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문학연구
2023 .11
그림책을 매개체로 한 사회적 소통 - 재해를 다룬 한국과 일본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
인문사회과학연구
2018 .04
노년 그림책의 가능성에 대한 시론
문학교육학
2018 .01
유아용 북클럽 프로그램의 다문화 그림책 현황 분석: B 출판사 북클럽 그림책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2021 .01
해방 전 그림책과 관련한 논의와 그림책의 과도기적 양상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5 .12
Picture books for adults : 그림책테라피가 뭐길래?
자음과모음
2022 .06
유아 교사의 디지털 그림책 인식과 활용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2 .06
[그림책] 작가의 철학을 담는 그림책
창비어린이
2019 .09
[그림책] 그림책, 도약의 시대
창비어린이
2018 .12
그림책 속의 여성
자음과모음
2022 .06
모든 연령층을 위한 그림책
창비어린이
2016 .03
예비 초등 교사의 복합양식성 이해에 따른 그림책 제작 변화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
2022 .04
90년대 이후 우리 과학 그림책의 변화
창비어린이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