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민수 21,4-9 이해의 난제로서 뱀
Ⅲ. 민수 21,4-9의 뱀 해석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제주도 뱀신화와 뱀신앙의 문화 계통 연구
탐라문화
2019 .01
뱀들에게 외 1편
창비어린이
2020 .06
뱀의 예견 성취와 지혜-서사 (Wisdom-Narrative)로서의 창세기 2-3장
신학논단
2020 .06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 the Serpent(Exod 7:8-13) in the Plagues Narrative
구약논단
2022 .06
로봇 뱀 외
창비어린이
2023 .03
초록 뱀 외 1편
시조시학
2022 .06
‘가장 낮춰진 이’ 모세: 히브리 성경 내 아나뷤 전통을 바탕으로 민수 12,1-16 다시 읽기
신학전망
2023 .12
뱀의 상징: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연세상담코칭연구
2018 .09
그 여자의 상사뱀, 그 남자의 상사뱀
여성문학연구
2021 .08
러시아 문화에 녹아있는 히타이트 문화의 흔적들 : 뱀퇴치 모티브 신화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9 .04
소설가 백도기의 문제의식과 구약성서 모티프의 환유적 구현 ― 소설 『청동의 뱀』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22 .06
한국 문화에서 뱀의 상징성 고찰
동아인문학
2025 .03
A Reflection on the Question of Go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Theology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6 .06
전근대적 몽환과 괴기의 세계: 김내성의 「백사도」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2023 .02
아스떼까 대신전에 나타난 비의 신, 뜰랄록의 의미
민속학연구
2017 .06
여호와께서 오직 모세를 통해서만 말씀하셨느냐?
개신논집
2020 .09
천극(川劇) 「백사전(白蛇傳)」의 청사(靑蛇)와 파촉문화(巴蜀文化)
횡단인문학
2021 .10
『풀잎은 노래한다』의 모세에 재현된 레싱의 종교관
문학과 종교
2018 .01
1970년대 민중 공동체에 대한 문학적 상상 -이정환의 「뱀춤」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23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