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한류 속 K-pop과 비대면 공연콘텐츠의 특성
Ⅲ. K-pop 비대면 공연의 유형별 사례와 현상
Ⅳ. 기술결합과의 확장적 조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비대면형 공연콘텐츠의 트랜스미디어전략
비평문학
2022 .03
공연비평적 성서읽기
신약논단
2021 .03
전라북도립국악원 창작창극 <어매 아리랑>의 공연학적 특성 연구
공연문화연구
2015 .08
우리나라 공연문화 연구동향의 의미연결망 분석
공연문화연구
2018 .01
일제강점기 주요 다목적 공간들에서의 공연양상 - 전통음악공연을 중심으로 -
공연문화연구
2018 .01
전통공연 예술을 활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사례 연구 -몽골 울란바토르 전통공연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극예술연구회 공연 체제의 변화와 제10회 정기공연 형식에 대한 일 고찰―제10회 정기공연에 이르는 도정에서 발현된 연극 콘텐츠의 형식 교류와 공연 체제 확산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20 .01
1920~30년대 조선 연극계 공연 관행으로서 1일 다(多)작품 공연 체제 실상과 변모 양상 연구
공연문화연구
2022 .08
공연과 MMORPG의 몰입성 비교연구 -<내일 공연인데 어떡하지!!>와
공연문화연구
2015 .02
1920년대 전통음악공연의 형태와 특징 - 서양식 장르와의 혼성공연형태를 중심으로 -
공연문화연구
2017 .08
지역스토리자원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 가족뮤지컬 〈다노다노〉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20 .06
마가복음의 공연 비평적 읽기 - 백부장의 고백(막 15:39)을 중심으로 -
대학과 선교
2017 .01
국립국악원에서 행해지는 춤 공연의 공연명칭을 통한 전통예술 인식 연구 - 1991년부터 2011까지 총 21년간 공연을 통하여 -
공연문화연구
2015 .08
전시와 연계한 어린이 공연예술 프로그램 사례연구 -서울소재 국립기관 세 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2020 .01
공연예술관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공연문화연구
2023 .02
공무도하전승의 공연문학적 접근과 해석
어문연구
2021 .09
국립무형유산원 상설공연의 양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무형유산
2024 .06
언택트 시대에 온라인 예술공연의 특성이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와 예술연구
2021 .01
조선후기 궁중 공연공간의 소통적 역할
동양고전연구
2019 .01
‘장소 특정적’ 공연을 통한 지역 특성화의 시도와 그 효과 : 소제동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 〈존재〉’를 바탕으로
인문콘텐츠
201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