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Introduction
American Medicin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s Legacies
Entanglement of Colonial Legacies and American Public Health
Translating Public Health and Effacing Wisaenghak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朝鮮)の특산(特産)』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식품 특산물 현황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9 .01
在朝鮮日本人浅川伯教 · 巧兄弟と柳宗悦の朝鮮伝統文化理解の特質 : 初期の活動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18 .11
일제강점초기 초등지리 교육 고찰 : 조선총독부편찬 일본어 · 지리교과서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02
From the Colonized Other to the Ruling Subject: A Post-colonial Subject Beyond the Theoretical Resistance in Mohsin Hamid’s The Reluctant Fundamentalist
동서비교문학저널
2022 .03
日本と植民地朝鮮における性科学言説の展開とその相違に関する一考察
일본문화학보
2021 .11
미시나 쇼에(三品彰英)의 『日本書紀朝鮮關係記事考證』에 관한 一考
일본문화학보
2019 .05
柳宗悦の朝鮮理解の特質 ―朝鮮関連初期の著作を手がかりに―
일본문화학보
2020 .11
“Medicine of the Grassroots”: Korean Herbal Medicine Industry and Consump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의사학
2020 .04
홍암 나철의 죽음에 함의된 의미 고찰
신학과 사회
2022 .11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Military Medicine during the Korean War: the Medical Field Service School and Training in the U.S.
의사학
2023 .12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한탕주의 욕망의 실제 : <소낙비>, <金따는 콩밧>, <만무방>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6 .12
해방 후 한국 지질학의 발달: 일제강점기 지질학 극복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019 .01
가려진 의생단체의 모습 ― 일제시기 동서의학연구회를 다시 보다 ―
사림
2017 .01
A Model on the Rise and Decline of South Korean Anti-American Sentiment
Korea Observer
2015 .06
Reconstructing Asian American Male Masculinity in American Born Chinese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2 .06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수용 -식민지 시기의 한 · 중 번역본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연구
2019 .12
두 개의 미국 : 오키나와 아메리칸 빌리지를 둘러싼 표상 정치
일본연구
2015 .08
1960년대 미국 대중음악과 함께 읽는 조이스 캐롤 오츠의「어디로 가는지, 어디에 있었는지?」
영미문학교육
2015 .01
How Can We Understand Japanese Governmentality in Colonial Seoul? : Assimilating Seoul: Japanese Rule and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in Colonial Korea, 1910-1945, by Todd A. Hen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 299 pp.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5 .12
1900년대 초 재조일본인 사회의 변화와 명사록 출판
이화사학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