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はじめに
2. 日本と植民地朝鮮における性科学の輸入
3. 性科学言説の展開に見られる相違
4. 植民地における「異常」なセクシュアリティの告白
5. おわりに
参考文献
要旨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제강점초기 초등지리 교육 고찰 : 조선총독부편찬 일본어 · 지리교과서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02
From the Colonized Other to the Ruling Subject: A Post-colonial Subject Beyond the Theoretical Resistance in Mohsin Hamid’s The Reluctant Fundamentalist
동서비교문학저널
2022 .03
미시나 쇼에(三品彰英)의 『日本書紀朝鮮關係記事考證』에 관한 一考
일본문화학보
2019 .05
『조선(朝鮮)の특산(特産)』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식품 특산물 현황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9 .01
在朝鮮日本人浅川伯教 · 巧兄弟と柳宗悦の朝鮮伝統文化理解の特質 : 初期の活動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18 .11
식민지 통치권력 재해 조사를 둘러싼 일반과 특수의 간극 - 1928년 경북지역 가뭄 조사를 중심으로 -
사림
2015 .01
柳宗悦の朝鮮理解の特質 ―朝鮮関連初期の著作を手がかりに―
일본문화학보
2020 .11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수용 -식민지 시기의 한 · 중 번역본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연구
2019 .12
Special Issue: Buddhism in the Colonial Period Guest Editor’s Introduction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19 .01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한탕주의 욕망의 실제 : <소낙비>, <金따는 콩밧>, <만무방>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6 .12
홍암 나철의 죽음에 함의된 의미 고찰
신학과 사회
2022 .11
한국사와 68운동; 확장된 이해와 시선 — 1960~1970년대 초 한국사회 저항운동을 중심으로 —
사림
2018 .01
[근대Ⅱ] 식민지 인식의 새로운 접근을 위한 모색 : 2016~2017년 일제 식민지시기(1910~1945)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학보
2018 .09
식민지 군중의 “길거리 정치”와 식민자의 공포 (1920-1929)
도시연구
2018 .04
How Can We Understand Japanese Governmentality in Colonial Seoul? : Assimilating Seoul: Japanese Rule and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in Colonial Korea, 1910-1945, by Todd A. Hen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 299 pp.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5 .12
Revisiting Americanization: Focusing on the Reformation of Public Health in South Korea, 1945-1960
Korea Journal
2022 .09
일제하 조선 지방 세출의 구조와 추이, 1910~1936 - 대만과의 비교를 겸하여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1 .09
북한의 율곡 연구- 반동적 관념론자에서 선진적 사상가로
율곡학연구
2017 .12
日本市民による植民地支配の記憶の試み : 「在日筑豊コリア強制連行犠牲者納骨式追悼碑建立実行委員会」を事例に
HOMO MIGRANS
2015 .11
식민지 공공성과 3.1운동 - 의암 손병희를 중심으로 -
퇴계학논집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