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들어가며
2. 철학의 ‘외부’에서 말하기
3. 푸코가 거부한 철학과 사건사 속의 철학
4. 근대적 사유에 대항하기와 근대적으로 사유하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50년대 한국의 철학연구자들에게 ‘철학’은 무엇이었나: ‘철학개론서(단행본과 번역서)’ 서문에 나타난 자기인식
사학연구
2025 .03
푸코의 고고학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적 사유에서 철학적 자기 정당화의 문제
철학
2018 .11
푸코 철학의 한계-조건- 『 말과 사물』을 중심으로
철학논집
2024 .08
존재론적 푸코 - 『푸코』 읽기 -
철학∙사상∙문화
2017 .06
영성철학이란 무엇인가? - 피에르 아도(Pierre Hadot)의 고대철학을 중심으로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4 .12
생명철학의 함의와 도가의 생명철학적 특성
현대유럽철학연구
2020 .01
미셸 푸코의 자기 배려와 그리스도교 영성에 관한 고찰
신학연구
2018 .12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2) - 산업화시기 철학의 제도화와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
2017 .01
실험철학과 직관
철학연구
2022 .02
동서 사유의 생명철학적 계기
동서인문학
2017 .06
우리의 철학과 철학실천
철학탐구
2015 .11
21세기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 - 제도권의 철학 풍토와 우리철학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9 .01
권력, 주체, 철학 - 푸코 후기 철학의 세 가지 주제 -
철학논집
2020 .01
영미철학의 수용방식과 우리철학의 가능성
인문학연구
2018 .01
동양철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한국동서철학회 35주년 연구사를 중심으로 -
동서철학연구
2019 .01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에 입각한 역사철학의 구획과 체계 : 역사인식론과 역사존재론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8 .03
‘조선철학’ 대 ‘한국철학’ : ‘북’의 조선철학 연구 특징과 남북철학의 공동연구 가능성
시대와 철학
2019 .01
우리 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대동철학
2016 .01
Foucault’s Iranian Effect(푸코의 이란 효과)
비평과이론
2022 .02
철학의 길, 그리고 우리의 길 : 철학정신과 시대정신의 교차점에서
철학탐구
201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