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죽음의 전조로서의 까마귀
3. 기상을 예지하는 까마귀
4. 화재를 초래하는 까마귀
5. 질병을 유발하는 까마귀
6. 영물로서의 까마귀의 신성성
7. 결론
参考文献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중(韓中) 설화에 나타난 까마귀·까치의 이미지 고찰
포은학연구
2021 .01
이상과 기독교-「烏瞰圖 詩第七號」 해석을 중심으로
구보학보
2017 .12
악부시 <烏夜啼>와 <烏棲曲>의 계승과 변화에 대한 연구-唐代부터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2017 .01
길조와 흉조, 익조와 해조를 넘나든 새 -서양 역사 속에 나타난 까마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프랑스사 연구
2024 .08
히로시마․나가사키의 피폭 조선인 표상 — ‘까마귀’를 중심으로 —
日本思想
2021 .12
신라 하대 赤烏 출현의 정치적 의미
영남학
2023 .06
‘해 속의 三足烏’의 構成 要所와 圖像의 象徵的 意味
문화사학
2019 .06
북한 속신의 양상과 믿음 체계
한국민속학
2023 .11
한국문학논총
2021 .12
사운드 설치 작품의 의미 축조와 현상학적 이해- <까마귀의 살해>를 중심으로
기호학 연구
2017 .01
禽言體詩의 禽言 機能에 대한 硏究
고전과 해석
2016 .01
유산 방지와 낙태를 위한 속신의 전승과 한의학적 의미
문학치료연구
2021 .01
[우수상(소설)] 새 새(New Bird)
숙명문학
2019 .11
「오감도 시 제1호」와 이상(李箱)이라는 페르소나의 이중성 식민지 근대 시공간의 다차원적 조감도로서 이상 시 읽기
민족문학사연구
2018 .01
Crow’s Eye View: The Korean Peninsula : 2014, Korean Pavilion at the 14th International Architecture Exhibition - la Biennale di Venezia, Venice. 2015, Arko Art Center, Seoul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5 .06
한국 구비설화 속 자연모방적 속신(俗信)의 형태와 민간의식
한국민족문화
2022 .03
Commodification of Art: The Tragic Vision in Sam Shepard’s The Tooth of Crime
현대영어영문학
2021 .01
영미시에 나타난 날개의 시학과 새 이미저리의 메타분석
동서비교문학저널
2020 .09
수치심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문학 기반 정서 리터러시 수업 방법 -『고맙습니다 선생님』, 『까마귀 소년』,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22 .02
이상 문학에서 ‘13인의 아해’에 대한 주석학적 연구
어문학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