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 까마귀 속신의 이중적 성격과 의미
일본연구
2022 .08
禽言體詩의 禽言 機能에 대한 硏究
고전과 해석
2016 .01
[우수상(소설)] 새 새(New Bird)
숙명문학
2019 .11
中韩古代禽言诗比较研究
중국어문학
2020 .01
『본초강목(本草綱目)』과 『재물보(才物譜)』의 분류체계와 어휘 항목 비교
한국민족문화
2021 .11
The “Almost” Reformers: Isabella Bird’s De-Radicalizing of Grassroots Reforms in Korea and Her Neighbors
근대영미소설
2020 .01
한국 베트남 조류 기원담 비교연구- 조류의 전생담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15 .01
시베리아 에벤족 설화에 나타난 새들의 신화적 형상
슬라브硏究
2019 .01
달과 까마귀
월간에세이
2018 .04
영어와 한국어 새 이름 어휘의 개념화 양상
현대영어영문학
2023 .02
김혜순 시에 나타난 ‘새’의 사유이미지 연구 ― 『피어라 돼지』, 『죽음의 자서전』, 『날개 환상통』을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21 .12
길동생태공원 인공새집 이용현황 분석
문학과환경
2016 .09
『詩經』에 나타난 ‘새’ 이미지의 상징성- 애정시를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0 .01
접동새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상호문화능력 향상을 위한 가치문화의 교수-학습 방안
한국언어문학
2021 .01
디지털 기법을 활용한 시조의 ‘새(鳥)’ 수용 양상 고찰 -『韓國時調大事典』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23 .06
The Discourse of Magic in Bernard Malamud’s “The Jewbird”
신영어영문학
2015 .02
1차 세계대전과 미스터리 소설 ―1920년대 초 김동성의 번역을 중심으로―
사이間SAI
2024 .05
까마귀나무 외 1편
시조시학
2016 .06
새의 번제(레위기1:14-17)의 존재와 신학
신학지남
2016 .12
길조와 흉조, 익조와 해조를 넘나든 새 -서양 역사 속에 나타난 까마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프랑스사 연구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