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무엇으로부터 도시를 보호하는가?
근대 도시의 위생과 방역사
한 권의 책으로는 아쉬운 근대 도시위생 이야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더 많은, ‘이름 없는 여/성’의 역사를 위하여 :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과 젠더』(소현숙, 역사비평사, 2017)
역사비평
2018 .02
나인호,『증오하는 인간의 탄생-인종주의는 역사를 어떻게 해석했는가』(서울, 역사비평사, 2019)
역사학보
2019 .12
영원에 대한 갈망과 삶의 지혜 — 김순경 수필집, 《검·은·꽃》(수필과 비평사 2024)
수필미학
2024 .09
안과 밖의 세상, 그 너머를 꿈꾸며 - 김양희 수필집 《그대의 흰손》(수필과비평사, 2015)
수필미학
2015 .12
상실감을 채우려는 삶의 의식 행위 - 하재열, 《나 몇 살이라 해야 하지?》(수필과비평사, 2022)
수필미학
2022 .06
진정성을 위한 의식의 탈주 ― 김정화, 《프레임으로 닫힌, 그러나 열린》(수필과비평사, 2024)
수필미학
2025 .03
비평가가 전해 주는 수필의 질량 —백남오 평론집《백남오의 수필 쓰기와 비평》(수필과비평사, 2024)
수필미학
2024 .09
따뜻한 슬픔의 힘 : 엄현옥의 《받아쓰기》(수필과비평사, 2017.)
수필미학
2017 .12
미소微小한 존재의 서사 : 심선경 수필집, 《갈마도서관에 두고 온 것들》(수필과비평사, 2022)
수필미학
2023 .06
알프 뤼트케(이유재 편, 송충기 역), 『알프 뤼트케의 일상사 연구와 ‘아집’: 직선을 벗어나 구불구불 가기』 (역사비평사, 2020)
서양사론
2021 .01
그들의 ‘자랑스러운’ 역사 뒤집어 읽기 : 『조선 · 동아일보의 탄생 - 언론에서 기업으로』(장신,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2021 .05
삼일운동에 대한 밀도 있는 ‘이야기’ : 『낯선 삼일운동-많은 인민을 이길 수 없다』(정병욱, 역사비평사, 2022)
역사비평
2022 .08
1950년대 한국의 후진성을 고민했던 지식인들의 이야기 : 『한국 사회과학의 기원 - 이데올로기와 근대화의 이론 체계』(홍정완,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2021 .11
양천신분제사회의 노비계급? : 『사대부시대의 사회사』(유승원, 역사비평사, 2020)
역사비평
2020 .11
한국 현대사의 ‘진실’ 드러내기를 위한 어느 역사가 평생의 고투 : 『전환기 현대사의 역사상』(서중석,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2022 .02
근대는 죽음을 어떻게 정치화하는가? - 국가적 죽음의 숭배와 그 너머 : 『전쟁과 희생-한국의 전사자 숭배』(강인철, 역사비평사, 2019)
역사비평
2019 .05
‘내부난민(IDPs)’의 확장과 ‘외부난민(refugees)’ 의 가시화 - 미래의 갯벌을 기다리며 :『난민, 경계의 삶-1945~60년대 농촌정착사업으로 본 한국 사회』(김아람, 역사비평사, 2023)
역사비평
2023 .11
사림파, 사림 네트워크, 사림운동 : 『조선 전기의 사림과 <소학>』(윤인숙,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2016 .05
이 땅에 살기 위하여— 『최남선 연구』(류시현, 2009, 역사비평사) 깊이 읽기 —
개념과 소통
2016 .01
식민지 유산을 새롭게 생각하기 : 『동화와 배제–일제의 동화정책과 내선결혼』(이정선, 2017, 역사비평사)
동북아역사논총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