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Ⅰ. 머리말
Ⅱ. 1274년의 成婚과 ‘부마’의 실체
Ⅲ. 나얀의 난과 ‘상설형 軍前行省(1287~)’의 출현
Ⅳ. 부마국왕에서 국왕승상으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려국왕의 征東行省 保擧權 장악과 그 의미
史叢(사총)
2017 .01
몽골 諸王 카단(哈丹)의 출신과 행적
역사와 담론
2020 .10
13세기(1219?1278) 몽골―고려 관계 재론 - 소위 ‘六事’ 요구와 그 이행 문제를 중심으로 -
대구사학
2021 .01
몽골의 동아시아 전쟁과 지배 질서의 재편 : 쿠빌라이시기의 전쟁을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1
1278년 쿠빌라이-충렬왕 만남의 의미
역사학보
2018 .03
고려후기 權署征東行省事설치의 양상과 배경
한국사연구
2018 .09
몽골의 탐라에서 고려의 제주로 - 13~14세기 탐라 관할권의 변화와 그 원인 -
대구사학
2024 .02
고려가 몽골제국에 바라는 것 - 김구(金坵)의 외교문서에 표현된 원종 대 양국관계의 재구성 -
한국사연구
2022 .12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 ‘정동행성’은 왜 학습되고 있을까?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 ‘학습 요소’ 설정의 맥락 -
역사교육
2022 .09
몽골 -고려 군사동맹 관계 : 양국관계를 조망하는 하나의 관점
역사와 담론
2018 .10
征東行省기능의 변천 : 시기구분을 겸하여
한국사학보
2017 .02
쿠빌라이 정부의 南海정책과 해외무역의 번영 - 몽골의 전통적 세계관과 관련하여 -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9 .11
Personal Trajectories and National History: Why the Goryeo People Went to the Mongol Empire and How They Lived Ther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4 .12
조선후기 ‘대리정치’의 권한 범주와 왕권
역사와 담론
2018 .01
고려 원종대 이장용의 대몽 외교활동
한국인물사연구
2016 .03
대립에서 공존의 시대로 -13세기 강원지역과 몽골제국의 만남을 중심으로-
江原史學
2021 .11
[일반] 기독교와 전쟁 : 정의로운 전쟁(정당 전쟁, Just War)에서 정의로운 평화(Just Peace)로
성서마당
2022 .12
인간 없는 전쟁
타우마제인
2024 .01
전쟁을 다시 생각한다
철학과 현실
2022 .06
Transition under Ambiguity: Koryǒ-Mongol Relations around 1260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0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