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윤정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역사학회 역사학보 歷史學報 第254輯
발행연도
2022.6
수록면
121 - 170 (50page)
DOI
10.16912/tkhr.2022.06.254.121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e wake of the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in 1269, Crown Prince Wangsim and his entourage sought to marry a Mongolian princess. Their effort came to fruition in 1274, when the marriage finally took place. However, King Chungryeol gained not the status of the emperor"s son-in-law but only that of the “husband of the princess.” For the Mongols, King Chungryeol was no more than a foreign monarch having no close political relations with the Great Khan.
In 1278, King Chungyeol promised to help Kublai"s war, and in 1281, succeed in gaining the status of the emperor"s son-in-law. At the same time, he also acquired the post of governor of Jeongdong Haengseong, heading the provisional military command organization in parallel with the Mongol governor.
The Nayan Rebellion, broken out in 1284, transfromed Jeongdong Haengseong into a permanent military command organization. While the rebel imperial family of Eastern Ulus collapsed, King Chungyeol, having helped Kubilai"s warfare since 1278, acquired the new status of the the Mongol prince(諸王) as a son of the Great Khan in 1290 and become the sole governor of Jeongdong Haengseong in 1287.
In brief, the Mongol Yuan"s intervention in Goryeo was caused by the Goryeo king"s special status as the Mongol prince under the Mongol hegemony.

목차

Ⅰ. 머리말
Ⅱ. 1274년의 成婚과 ‘부마’의 실체
Ⅲ. 나얀의 난과 ‘상설형 軍前行省(1287~)’의 출현
Ⅳ. 부마국왕에서 국왕승상으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905-001528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