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金垌吾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중국고중세사학회 중국고중세사연구 中國古中世史硏究 第64輯
발행연도
2022.5
수록면
1 - 43 (4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本文對關於芻稾稅、戶芻、戶賦等秦漢初部分稅役的幾個問題進行了討論。首先,秦漢律令的芻稾稅條文中所記載的‘石’會同時被用作重量單位和容量單位。但綜合文獻與簡牘資料來看,‘石’被用於容量單位的事例更為普遍。律令條文往往不會有意區分重量與容量,因為當時芻的一石重量與一石容量是一回事。再者,通過里耶秦簡中的芻稾志,可以對秦代芻稾稅的徵收狀況進行考察,結果發現向黔首徵收的芻稾稅都是用錢繳納的。這是由於在遷陵縣中,飼養牛馬所必需的芻稾最先來自於從公田中所收穫的那部分。
戶芻作為戶賦的一種,每年10月按戶徵收1石的芻。通過里耶秦簡對戶芻錢的記錄,可以確定這種稅目同樣是用錢繳納的,但在鳳凰山漢簡中,又可以發現漢代徵收實物的事實。這也可能是因為實物根據飼養縣中牛馬所必需的量來徵收,而餘額則用錢繳納。比較兩種資料,會發現秦代與漢代的芻稾稅和戶芻在徵收上的變化。漢初原封不動地繼承了秦代1石戶芻的規定,但在減輕田租措施的影響下,芻稾稅逐漸減少,從而以1芻=2稾的比率每頃各徵收1石以下。
戶賦是一種按戶徵收錢或實物的稅目,其存在伴隨著出土資料的公開得到確認。在秦簡中,僅出現了5月繳納16錢的戶賦與10月繳納1石芻的戶芻的記載。但這里的戶賦應當被看成以戶為徵收單位的各種稅目的總稱,除了5月戶賦和10月戶芻以外還包括其它稅目。目前,秦代戶賦的構成稅目及每年繳納的總額仍然難以確定。但根據相關資料,可以推測每戶每年大約繳納200錢。到了漢代,這種戶賦可能被改為按口徵收,並被算賦所繼承。

목차

서론
Ⅰ. 芻稾稅 규정의 해석과 그 징수
Ⅱ. 戶芻 규정과 稅額
Ⅲ. 戶賦의 성격과 稅額
결론
참고문헌
中文提要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912-001337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