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엑스포를 개최한 한국, 중국, 일본 엑스포 디자인과 각국의 문화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벤트 디자인을 개최 도시/주제, 시각 이미지, 국가 전시관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벤트 디자인의 의미와 이벤트 디자인의 개발 사례를 살핌으로써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연구 배경: 메가 이벤트를 국가 경제의 도약과 지역 발전, 그리고 국민통합 등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은 국가들이 메가 이벤트 유치에 경쟁적으로 뛰어 들고 있는 실정이지만, 현재 메가 이벤트(엑스포)에 대한 시각디자인 연구 결과는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문화의 시대에 본 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효율적인 차별화, 이미지 상승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 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을 문화산업으로서 차별화하여 일관되고 강력한 정체성으로 응집시키는 비교/융합 연구의 기초를 구축하여 전체를 통합하고 강화시키는 연구라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연구의 창의성과 독창성이 있다고 하겠다. · 연구방법: 1단계: 문헌 조사를 통해 이론적 방법론 및 선행 연구를 하고, 2단계: 인터넷 자료 조사로 메가 이벤트 디자인 사례 연구 분석 후, 3단계: 정량적 분석에 대한 추진방법과 전략 구사에서 디자인의 유형별 사례분석 그리고, 4단계: 메가 이벤트 디자인인 엑스포 전략 방향 정립을 하여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한, 중, 일 삼국에 나타난 공통점은 개최 도시 부분에서는 수도가 아닌 제2, 제3의 도시에서 개최하였고 해안(강)에 위치하여 경관을 갖추었으며, 시각 이미지 부분에서는 한자 문화와 조화론적 세계관, 자연 친화 사상이 공통 특징이었다. 국가 전시관에서도 유, 불, 도 3교의 정신 문화 기반으로 자연과의 상생과 의미론적 색채 관 등 상징성을 표현하였다. 각 국가의 특성과 함께 자연 친화 사상의 표현이라는 동아시아 삼국의 공통적 요소(사상)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현재의 동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을 살펴보는 시점에서, 공통점과 차별성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문화 정체성이 담긴 디자인을 보여주어 ‘매력적인 문화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 자료로 하여 향후의 후속 연구로서 문화를 디자인이라는 비 구술적 디자인 언어로 소통함으로써 정서적인 공감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콘텐츠화 방안을 더욱 심층적으로 모색해볼 수 있고, 여기에 더하여 한국의 문화 가치를 실체적으로 구현하여 이루어지는, 엑스포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velopment plan by comparing the desig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centered on the mega event, Korea, China, and Japan Expo. · Research background: As the awareness of using mega-events as a means of national economic leap, reg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unity is spreading, many countries are competing to attract mega-events. It is true that the results of visual design studies in Korea are incomplete. In the age of culture, research on the design of mega-events in the three Asian countries will have a cultural synergy effect and promote efficient differentiation and image enhancemen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bove all else, has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that it is a research study that compares and converges the ‘mega-event design’ of the three Asian countries as a cultural industry. · Research method: Research method: Step 1: Conduct theoretical methodology and precedent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tep 2: After analyzing mega event design case study through internet data research, Step 3: Implementation method and strategy for quantitative analysis by design type Case analysis and 4th stage: mega-event design, expo strategy direction was established and a design plan was sought. ·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mega-event design development pla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ttraction shift from nationalism to the center of the holding city. Second, the offline to online dualization strategy. Third, in mega event design, EIP is a clear cultural message and systemization as a visual design. In this way, future mega-event design development strategie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only the role of mega-event design through the realization of cultural identity, but also a design development plan in which abstract spiritual culture is expressed in visual language in formative terms, as the most effective content to inform the world of the identity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and Korea. It will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of mega-even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