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머리말
Ⅰ. 簡牘 『史記』의 轉寫 경로
Ⅱ. 誤・錯・加・刪: 簡牘 『史記』 寫本 변형의 예
맺음말
참고문헌
中文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중국에서 출토된 주요 간독 소개 -한반도 자료와의 연결을 모색하며-
목간과문자
2024 .06
20세기 이래의 秦漢 관문서 간독 형태와 명칭에 관한 연구
목간과문자
2022 .12
北京大学藏秦简牍与秦人的图书整理
동서인문
2024 .08
2016年 중국 대륙 秦漢魏晉 간독 연구 개설
목간과문자
2018 .12
“周家台祠先农简”所见秦代乡民私祀现象
동서인문
2019 .10
한국학계의 ‘고대 동아시아 簡牘자료’ 연구하기
대동문화연구
2017 .01
2017年 중국 대륙 秦漢魏晉 간독 연구 概述
목간과문자
2020 .12
진한시기 토지제도와 편호제도 연구의 논점과 전망 : 진한 간독자료를 활용한 한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05
前漢 海昏侯墓 출토 간독에 대한 기초적 고찰
동서인문
2021 .04
应劭年谱考订 -兼『后汉书』正误三则
중국사연구
2017 .08
2014年秦漢魏晉簡牘硏究概述
목간과문자
2016 .12
종이의 성
수필미학
2017 .09
종이집 한 채 외 4편
시조시학
2018 .12
2015年秦漢魏晉簡牘硏究槪述
목간과문자
2017 .12
대구 八莒山城 木簡의 재검토 ― 신라의 지방지배와 하찰목간 ―
동서인문
2023 .08
중국조선어 규범과 한국 어문 규정 차이에 대한 약간의 고찰 —띄여쓰기, 철자, 문장부호 등을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
2021 .01
한제국(漢帝國) 하서(河西) 변경 사졸(士卒)들의 질병과 치료 : 거연(居延), 돈황(敦煌) 출토 간독(簡牘)자료를 중심으로
의사학
2015 .04
경산 소월리 목간의 기초적 검토
목간과문자
2020 .06
秦漢 簡牘에 보이는 律典 체계
동아문화
2020 .12
秦漢시기 詔書의 律令化
중국고중세사연구
201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