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Introduction
Conceptual Dilemma of North Korean Defectors’ Human Rights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South Korean Citizens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Refugees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Migrants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경계에서 이야기하기 :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다른’ 고백의 정치
코기토
2022 .06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의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2019 .12
북한 방언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연구: ‘남북 언어의 이질감 극복’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4 .09
교육대학 학생들의 북한 인식과 북한이해교육의 과제: 2016~2018년 「북한과 통일론」의 사례
윤리연구
2019 .01
한국 교회의 북한이탈주민 인식 전환에 대한 모색- ‘공감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
2019 .01
한국청년 그리스도인과 한국교회의 통일선교방안
신학지남
2017 .06
탈북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한국문예창작
2015 .01
북한이탈주민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남북한 질병언어 소통 사례집의 발전 방안 모색 - 비의료인의 관점에서 -
한말연구
2021 .01
탈북 도우미의 소설화 양상과 그 의미
현대소설연구
2016 .09
Recreational Reading in North Korea
Korea Observer
2016 .09
North Korean Defectors, States, and NGOs: The Case of Former Korean Residents in Japan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17 .06
탈북민 문학의 현황과 전망 -『망명 북한 작가 PEN 문학』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21 .12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Train North Korean Teachers to Adjust to South Korean Society :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North Korean Escapees
Korea Journal
2015 .12
『디어 리더』: 북한 남성의 자유를 향한 역사 기록적 삶쓰기
영미문학페미니즘
2017 .01
탈북 문학에 표상된 지식인
춘원연구학보
2018 .12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로서의 기독교의 역할
기독교와 통일
2022 .12
한반도 화해와 평화, 탈북민 그리고 다문화로의 이행 - 다문화적 사회 변혁에 따른 새로운 공동체 패러다임 모색 -
신학과 목회
2020 .06
북한군 간부 출신 북한이탈주민의 주체사상 극복과 복음수용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복음과 선교
2022 .12
『7개의 이름을 가진 소녀: 탈북자의 이야기』를 통해 살펴본 탈북민의 비체(abject)로서의 자기 인식과 목소리 내기
동서비교문학저널
2022 .12
신문기사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 지칭어 분석 : 지칭어와 관련어의 공기어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