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머리말
Ⅰ. 자유시참변 이후 한국독립운동의 상황
Ⅱ. 자유시참변 논쟁의 발단과 주요 논점
Ⅲ. 자유시참변 논쟁의 의의와 결과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유시 참변 후 100년] 독립전쟁과 1921년 6월의 자유시 참변
지식의 지평
2021 .10
홍범도의 러시아 적군 활동과 자유시사변
한국사연구
2017 .09
김규면의 만주·연해주 한인부대 통합 노력과 대한의용군사의회(1921~19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2 .05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와 한국독립운동 (1) -대회 개최의 배경과 준비
역사문화연구
2018 .01
Faction Polarization and Ideological Realignment in South Korea
Korea Observer
2018 .03
무스잉(穆時英)의 스파이 소설「G No.Ⅷ」연구 一 장르적 수용과 변주를 중심으로
한중언어문화연구
2023 .05
한일 자유시 담론에서의 ‘감정’ 인식과 ‘음악성’ 도입 논리의 비교 고찰
한국민족문화
2016 .08
근현대 상해 한인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10
[심사기] 자유시를 능가하는 비틀기와 재미성
시조시학
2021 .03
시베리아 한인사회의 사회주의 수용과 이르쿠츠크 공산그룹의 형성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2 .08
적기단(赤旗團)의 항일독립운동
역사연구
2025 .01
「朝鮮少女吟」 硏究–慰安婦의 波瀾萬丈한 人生 逆境–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4 .06
남인(南人)계열 문인의 사회시(社會詩) 창작 양상 일고찰
한국학논집
2025 .03
Competition for Party Nomination in the 90s: How do Factions and Personal Ties Matter in Korean Politics?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17 .06
사회대중당의 계파갈등과 정치적 연합전선의 실패
역사와 세계
2023 .06
1920년대 在滿韓人社會主義者들의 항일투쟁 노선 변화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7 .01
尹奉吉 上海義擧의 국내외적 영향과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8 .02
해방 후 최익한의 사회주의 운동과 ‘변백장(辨白狀)’
역사학연구
2017 .01
상하이시절의 이광수와 일본
춘원연구학보
2022 .04
강노향의 상해 체험 문학 연구
민족문화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