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남중 (전남대학교)
저널정보
고조선단군학회 고조선단군학 고조선단군학 제46호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37 - 89 (53page)
DOI
10.18706/jgds.2021.12.46.3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한이 위만조선을 침공한 이유, 위만조선이 멸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등을 검토한 것이다. 위만조선은 한에 의해 멸망했는데, 한은 건국 초인 文帝 시기부터 이미 이 지역을 失地로 보고 복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지니고 있었다.
지리적 이점과 위만조선의 철저한 전쟁 대비로 왕검성 항전은 수개월간 지속되었다. 그러나 우월한 전력을 지닌 적이 이길 때까지 공격하는 것을 막아내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한 무제가 무리한 공격보다는 투항을 이끌어내고자 하면서 위만조선 대신들의 항복이 이어졌고 결국 위만조선은 멸망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끈질긴 항쟁의 대가로 왕검성은 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되면서 기능을 상실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에 한의 고조선 지역 통치 거점은 위만조선의 도읍이었던 왕검성이 아닌 낙랑군 조선현이 되었다. 조선군이 아닌 조선현이 설치되었다는 점, 응소의 주, 『사기』, 『한서』의 조선전과 『한서』 지리지의 차이, 『위략』, 『삼국지』 등에서 왕검성 기사 부재, 왕검성과 패수의 관계, 기원전 2세기대 평양 일대의 고고학적 낙후성 등을 통해 왕검성은 조선현이 설치된 평양 일대로 볼 수 없다.
흉노, 진번, 임둔, 원 고조선 세력(낙랑 조선) 등 주변 세력이 도움을 주지 않았던 점도 위만조선이 멸망하는 원인이었다. 원 고조선 세력은 산동 낭야 출신인 왕중의 후손과 결합하였는데, 왕중은 『상서』, 『역』에 밝았던 인물이었다. 이들의 활동으로 원 고조선 세력이 기자 동래설을 증명하였고, 한은 위만조선이 아닌 원 고조선 세력을 고조선의 정통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왕중 후손은 중원의 농법, 위세품 등을 통해 토착 세력과 관계를 형성하였고, 원 고조선 세력은 왕중 후손의 권유를 받아들여 한에 투항하는 쪽을 선택한 것이다. 이들의 투항으로 왕검성은 더욱 고립에 빠졌고 결국 위만조선은 멸망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漢의 위만조선 침공 배경
Ⅲ. 왕검성 항전의 한계와 대가
Ⅳ. 위만조선 주변 세력의 외면과 낙랑 조선의 투항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911-000149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