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전희정 (Sungkyunkwan University) 강승엽 (Sungkyunkwan University) 정수영 (Sungkyunkwan University) 김태완 (Sungkyunkwan University) 조철호 (Sungkyunkwan University) 주원영 (Sungkyunkwan University) 김지영 (Sungkyunkwan University) 허재필 (Sungkyunkwan University)
저널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國土計劃 第56卷 第7號(通卷 第260號)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115 - 127 (13page)
DOI
10.17208/jkpa.2021.12.56.7.115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n efficient prediction of the pedestrian crash hot spots of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is important for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s and the prom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predict elderly and child pedestrian hot spo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used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data and collected Google Street View images of elderly and child pedestrian crash hot spots and non-hot spots. Then, we conducted experiments using five deep learning models, including VGG16, VGG19, ResNet50, ResNet101, and InceptionV3. We also employed the CAM analysis to visualiz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pedestrian crashes.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VGG16 model was the best model in predicting elderly and child pedestrian crash hot spots. In addition, the CAM analysis suggested that narrow widths of roads, physical facilities for transportation safety, and low openness were related to the pedestrian safety of the elderly and childr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인용문헌References

참고문헌 (4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539-00014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