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수사(數詞) 대조 연구 ― 현대몽골어의 집합수사, 분배수사, 반복수사, 불분명수사, 어림수사, 지소수사, 분수사를 중심으로 ―
동양학
2017 .01
On the Compound Nature of Numerals in English
영어학
2017 .07
臺灣에서 사용되는 數詞成語의 外部形式 硏究
중어중문학
2016 .06
현대중국어 ‘수량구+没VP了’의 정보구조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4 .02
Revisiting Greenberg’s “Generalizations about Numeral Systems” (1978)
Journal of Universal Language
2020 .09
알타이어족 만주퉁구스 제어 수사 체계 분석
외국학연구
2016 .01
선진(先秦)시기 중국어 수량(數量)구조 연구 —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0 .11
한국어 수사구의 언어유형론적 고찰
언어학
2017 .01
Numerals in English: a Syntactic Approach
언어
2019 .03
Towards a Derivational, Labeling-based Approach to ‘Floating’ Numeral Classifiers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2017 .01
중고시기 『세설신어(世說新語)』 수량(數量)구조 연구
중국문화연구
2021 .08
Numeral Systems of the West Rift Southern Cushitic Languages
Journal of Universal Language
2023 .09
선진(先秦)시기 중국어 수량(數量)구조 연구
중국문화연구
2021 .02
한국어 준구어와 중국 국내 한국어 듣기교재 내 제시대화문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관형사의 쓰임을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2016 .0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분류사 구문의 수사 제약에 따른 한국어 복수 표지 습득
언어연구
2024 .02
알타이어족 몽골어파 수사(數詞) 체계 분석
유럽사회문화
2018 .06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재 분석 연구 -듣기 담화 실제성과 과제 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021 .08
상고(上古)시기 『孟子』 수량(數量)구조 연구
중국문화연구
2019 .08
레지스터 분석 방법론에 기반한 한국어 수량 표현 어순 연구
언어
2021 .09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량사구 연구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