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권도경 (성결대학교)
저널정보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비교문화연구 제44권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147 - 189 (4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뺑덕어멈이 공유하는 계모형 서사가 어떻게 < 심청전 > 속에 편입되게 되었는가의 문제를 규명하고자 했다 . 이 아젠다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가 선택한 접근 방법은뺑덕어멈이 공유하는 계모형 서사가 근원설화에서부터 배태된 < 심청전 > 이 완결된 형태를구성한 이후에 확장되는 과정에서 삽화적으로 편입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 지금까지 < 심청전 > 의 근원설화로 알려져 온 < 전동자설화 (專童子說話)>·< 법묘동자설화 (法妙童子說話)>·< 소야희설화 (小夜姬說話)>·< 목련구모설화 (目連救母說話)>· < 선우태자설화 (善友太子說話)>·< 원홍장설화 (元洪莊說話)·< 황천의무가설화 (黃泉巫 歌說話)>·< 효녀지은설화 (孝女知恩說話)> 의 8 편을 검토해 본 결과 , < 전동자설화 >·< 법묘동자설화 >·< 소야희설화 >·< 선우태자설화 >·< 목련구모설화 >·< 원홍장설화 > 의 6 편이북전 (北傳)· 남전 (南傳) 불경계 설화임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 심청전 > 의 불전계 근원설화의 제 계열에 따른 계모형 서사와의 관련성 검토에서 출발했다 . 이들 < 심청전 > 근원설화 6 편의 상호관련양상과 전개사를 검토해본 결과 계모형 서사가특히 모친과 관련된 개안화소 (開眼話素) 와 일정한 상호관계 속에서 나타나고 있다는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 < 심청전 > 근원설화의 모친개안화소 (母親開眼話素) 가 남전 (南 傳) 불경계 설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 < 심청전 > 근원설화 관련 계모형서사는 이러한 남전 불경계 모친개안화소를 매개로 남전에 대한 북전의 상대적으로우월한 감화력을 전파하고자 한 북전 (北傳) 불경계 설화의 향유배경 속에서 탄생했다는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 . 다음으로 해당 계모형 맹인개안화소 (盲人開眼話素) 가 경판계 < 심청전 > 에 틈입하여완판계 < 심청전 > 의 뺑덕어미 서사를 형성해 내게 된 배경을 완판계 < 심청전 > 의 향유공간인 전라도 일대를 중심으로 한 문학지리와의 관련성 속에서 규명해 보았다 . 인도 남전계진경설화 (眞經說話) 가 중국에서 한역된 이후 최종적으로 국내 유입되는 과정에서 , 계모의 모해에 직면한 부친의 자식에 대한 자애양육서사 (慈愛養育敍事) 가 북전 불경계 설화적 특수성과 결합된 결과 부친의 유사맹목 (類似盲目) 을 개안시키기 위한 자식의 희생효행서사로 재구성된 것이 바로 전라도 일대의 < 우목낭상설화 (寓目囊箱說話)> 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러한 북전 불경계 설화와 남전 불경계 설화의 결합은 18 세기후반기 불교 세계관 체계에서 새롭게 대유행한 신조류였는데 , 18 세기 후반기부터 전라도일대에서 판각인쇄 되어 < 심청전 > 향유사의 새로운 흐름을 형성한 완판본은 이처럼북전 불경설화와 남전 불경설화가 습합되는 배경 속에서 남전 불경설화의 계모서사가북전 불경계 설화에 기반한 초기 < 심청전 > 에 틈입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