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하연 (전남대학교병원) 이승진 (전남대학교) 배은희 (전남대학교) 마성권 (전남대학교) 김수완 (전남대학교병원)
저널정보
전해질고혈압연구회 Electrolytes & Blood Pressure Electrolytes & Blood Pressure Vol.15 No.1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23 - 25 (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 17-year-old girl presented with polyuria (7 L/day) and polydipsia for one year. Initial urine osmolality was 113mOsm/kg H2O. Following 6 h of fluid restriction, serum plasma osmolality reached 300mOsm/kg H2O, whereas urine osmolality was 108mOsm/kg H2O. Urine osmolality was increased by 427% from 108 to 557mOsm/kg after vasopressin challenge.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entral diabetes insipidus, possibly derived from the atypical occupation of a Rathke’s cleft cyst at the pituitary stalk follow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enhancement. She was discharged with desmopressin nasal spray (10 μg); urine output was maintained at 2-3 L/day, and urine osmolality was >300 mOsm/kg. Additional pituitary image studies and evaluation of hypopituitarism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central diabetes insipidus.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