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 光海君代의 佛事 연구- 안동 仙刹寺 목조석가불좌상 造成發願文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2017 .01
State Control and Administration of Buddhist Sects Through Autonomy Within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Early Moder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20 .12
한국 사찰음식의 문화유산 가치와 전승 과제
비교민속학
2019 .08
영허 해일의 <金剛山>에 관한 一考察
동남어문논집
2018 .01
익산지역 백제 불교사원지의 특성과 불교유물을 통한 익산의 위상 -발굴조사 사례를 중심으로-
백제문화
2015 .02
Unearthing the Past from the Ground: Buddhist Temples during the Goryeo Dynasty Seen in a New Light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9 .06
18世紀 僧匠 義眞의 建築技法과 繼統性
문화사학
2021 .06
考古·文獻資料로 본 皇龍寺 畢功의 意味와 創建伽藍의 存在
백산학보
2018 .01
조선 전기 불사 후원과 후원자 양상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2 .11
성전과 인간-시편의 성전신학
구약논단
2021 .03
신라사찰 석축(石築)조성 방식 변화와 불국사 석축의 형식과 의미
불교학보
2020 .12
朝鮮前期 寺刹版 刊行佛書 考察
불교연구
2018 .01
사찰건축 공간구성의 역사, 그리고 지속과 변형의 가능성
남도문화연구
2017 .01
高麗時期 寺院의 金屬 消費 : 銅 使用 佛敎 工藝品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2015 .07
Review of the Korea Archives of Buddhist Culture of the Academy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3 .12
문명전환과 위기 극복을 위한 「사찰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고찰
보조사상
2022 .03
중국 남북조시대의 소조상과 부여 정림사지
역사문화연구
2018 .01
八公山 桐華寺의 창건시기와 伽藍의 변화과정 고찰
불교학보
2017 .06
명대 양명학 태주학파의 조사선 인식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23 .06
佛經故事의 中國故事化 과정상의 특징 및 의의 : 佛經淵源類故事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