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선법의 주체적 계승과 실현 - 대혜종고와 담당문준ㆍ원오극근의 만남을 중심으로 -
양명학
2023 .03
혜심의 무사실천 수행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3 .03
[학술대회 논문] 지눌 수증론의 해오(解悟)와 증오(證悟)의 의미 재조명
철학사상
2023 .08
[특별기고문] 왜 지눌인가? -한국의 뛰어난 불교 사상가의 연구에 바친 나의 삶에 대한 회고-
철학사상
2023 .08
선(禪)은 변증법인가? -일심삼문(一心三門)의 가능성과 자유의지-
종교연구
2023 .04
禪宗의 敎壇 성립에서 『楞伽經』의 功能
동아시아불교문화
2021 .09
東谷 日陀 대율사의 수행체계 연구 - 三學을 중심으로 -
대각사상
2023 .06
『원돈성불론』과 『간화결의론』에 나타난 지눌의 선교관
禪學(선학)
2017 .08
朝鮮時代僧軍制度及其在禪宗史的意義 -以『朝鮮王朝實錄』記錄爲中心
禪學(선학)
2021 .01
唐宋 禪詩의 心象 活用에 관한 연구 : 王維와 蘇軾의 禪詩를 중심으로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4
조주종심(趙州從諗)의 선사상(禪思想) 특질과 그 의의
禪學(선학)
2022 .12
『朝鮮禪敎史』에 나타난 누카리야 가이텐(忽滑谷快天)의 한국선종 인식 - 「조선」편을 중심으로 -
禪學(선학)
2015 .04
염불 공효(功效)의 실천적 의미 연구 - 운제산 자장암 사리분신(舍利分⾝) 영응(靈應)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2019 .01
法眼宗의 선사상과 禪敎不二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6
「조론서(肇論序)」 연구
한국불교학
2019 .01
선차禪茶 외 1편
시조시학
2017 .09
『藤氏家傳』의 고대한국 관계 기사 검토
백제연구
2018 .01
淸初重慶府臨濟宗聖可禪師著述考辨
동아인문학
2022 .12
다시 만해(萬海)의 정신으로 - 만해 선사(禪師) 생각
푸른사상
2022 .09
0